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기자동차의 열관리에서 나노입자를 이용하는 새로운 잠열저장 기술

전문가 제언

열교환기는 서로 다른 온도를 가진 유체를 서로 교환시킴으로써 열의 교환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동력시스템, 난방, 공기조화, 폐열회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분석물은 전기자동차에 대한 새로운 수동적 열관리시스템(Passive thermal management system)을 고려하였다. 나노입자를 이용한 잠열에너지 저장이 연구 및 최적화하였다. 유전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방법이 열교환기 튜브 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것은 열교환기의 셸 측(shell side)에 채워지는 상변화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의 열전도율이 아주 낮기 때문이다. 카본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와 PCM의 혼합물이 연구되었고, 나노튜브의 형태에서 이동 가능성은 결정논자의 설계변수로서 정의하였다.

 

여러 가지 열전달률은 300W에서 600W가 열교환기에서 배터리 냉각을 최적화하기 위한 선택으로 사용하였다. 더욱이 핀 튜브는 더 많은 열전달 저항 때문에 더 긴 열교환기 길이와 연관되었다. CNT 농도의 증가로, 열교환기의 최적 길이는 짧아졌고, 공기와 액체 열관리시스템과 비교하여 열관리시스템은 효율적으로 향상되었다.

 

자동차용 열교환기에서 열교환기의 최적 길이는 자동차의 열관리에 적용하기에 너무 크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NT 혹은 그래핀 나노플레이트(graphene nanoplatelets)를 PCM에 첨가하여 혼합물의 열전도율을 향상시켰다.

 

원저자가 제시한 수식을 대부분 수록하였다. 국내에서 열교환기에서 나노유체의 연구는 아주 적은 수로 연구되고 발표되고 있다. 이 분야의 연구자나 혹은 관련 업체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N. Javani , I. Dincer, G.F. Naterer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4
권(호)
268()
잡지명
Journal of Power Sour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718~727
분석자
장*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