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친환경 자동차의 기술동향

전문가 제언

대기오염과 지구온난화를 방지하고 환경보호를 위해 자동차의 연비개선과 배기가스의 청정화를 위하여 자동차산업 분야에서는 친환경자동차인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및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내연기관과 모터를 조합한 동력원을 사용하고 전기자동차는 모터로만 구동하는 시스템으로 우수한 환경성능과 에너지 절약성능으로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는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전혀 없는 차세대 친환경자동차로 주목받고 있다.

 

IHS에 의하면 현재 225만대인 친환경자동차 시장은 2016년에 316만대, 2018년에 474만대, 2020년에는 637만대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20년에는 HEV가 약 400만대, PHEV가 약 130만대, 전기자동차 약 100만대, 그리고 소량의 수소연료전지자동차가 시장을 구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친환경자동차의 본격적인 공급을 위해서는 관련기술과 국제규격·표준화가 급선무로 적절한 국제표준화와 호환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하이브리드 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 전기자동차 등 전기적으로 구동하는 자동차전반의 세계적인 규격화와 표준화를 위한 규격의 제정이 시급한 실정이다.

 

미국의 전기자동차·수소연료전지 자동차 판매의무 비율은 20182%에서 20206%, 202516%로 확대된다. 2013년 현재 총 117990여대의 전기자동차가 보급된 미국은 전기자동차 구매 시 보험료 10% 감면, 취득세 면제, 7500달러 보조금 비원, 충전기 설치비용의 30% 보조금 지원 등 다양한 지원정책을 제공하고 있다.

한국정부는 2020년까지 100만대의 전기자동차 보급과 글로벌 시장 점유율 10% 달성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2011년에서 2013780대로 전기자동차 보급은 증가했으며, 충전시설은 1962기가 설치되었다. 현대자동차는 2020년까지 22개 차종의 친환경자동차를 개발하고 연비를 25% 향상시키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본격적인 친환경자동차의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관련기술의 규격화와 표준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저자
K. Shimaura, M. Kuwada, T. Shimiz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4
권(호)
68(8)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85~93
분석자
진*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