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디젤 엔진의 질소산화물 배출에 대한 산화방지 첨가제 효과에 관한 연구

전문가 제언

에너지 수요의 증가와, 환경오염, 배기가스의 결과로 인한 온실 효과 등과 석유 기반 연료의 고갈로 인한 대체 연료로 바이오디젤이 부각되고 있다. 바이오디젤은 매우 다양한 원료 물질로부터 생산되는데, 식물성 유지와(대두유, 팜유 등.), 동물성 유지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바이오디젤 연료는 탄화수소(HC), 일산화탄소와 연기 농도를 줄여주는 반면, 질소산화물(NOx)의 배기가스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NOx는 스모그와 지상의 오존 레벨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산성비의 원인이 되고 있다.

 

배출가스의 NOx 감소를 목표로 그리고 산화 안정성을 위하여 산화방지제를 첨가하여 B20, 즉 바이오디젤이 20% 혼합된 연료에 대하여 그 영향을 조사하였는데, 산화 안정성에는 TBHQ가 가장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고, EHN이 가장 낮았다. 한편 NOx 배기가스 감소에는 EHN이 제일 좋고, TBHQ가 가장 낮은 결과를 보여, 단일 산화방지제의 사용보다는 2~3 가지 산화방지제를 배합하여 사용함으로서 시너지 효과를 얻도록 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바이오디젤은 유럽과 미국, 아시아 등지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기는 하나 아직은 미미한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데, 새로운 대체 연료로 부각될 것은 여건상 자명해 보인다. 유럽에서는 기존 경유와 유채유로부터 생산된 바이오디젤을 대상으로 바이오디젤의 산화특성을 규명 등에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바이오디젤 원료는 유럽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유채 유(rapeseed oil)와 동남아에서 사용하고 있는 팜유(palm oil) 등과는 달리 불포화지방산이 상대적으로 많고 이중 결합의 요오드가 많은 대두유(soybean oil)가 사용되어 일부 연구 되고 있는 실정으로 아직은 미미한 수준이다. 산화 안정성 또한 중요할 것으로 보이며, 전체적인 활성화를 고려할 만한 시점에 있다고 판단된다.

 


저자
Erol Iler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4
권(호)
125()
잡지명
Fuel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44~49
분석자
이*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