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형 연료전지에 의한 항공기 분산전원시스템과 향후전개
- 전문가 제언
-
○ 재생형 연료전지는 충전 가능한 연료전지이며, 엔진과는 독립해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부산물이 물뿐이기 때문에 에너지절약과 이산화탄소 배출 삭감을 가능하게 하여 환경부하를 삭감할 수 있다. 최근 보잉사와 IHI, IHI에어로스페이스는 공동으로 재생형 연료전지 시스템을 민간 항공기에 탑재하여 비행 실증하는 데에 세계 최초로 성공하였다. 이 비행실증은 보잉사의 환경대응 기술실증을 목적으로 한 Eco Demonstrator 계획의 일환으로서 미국에서 아메리칸 항공노선의 보잉 737형 기종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 비행 실증시험에서는 항공기의 이륙 전부터 고도상승 중에 연료전지로부터 발전에 의한 전력공급을 실시하여 순항 비행 시에 항공기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을 실시하고 그 다음 재차 발전, 충전, 발전의 사이클을 실시하는데 성공하였다. 재생형 연료전지의 항공기 적용 기술은 일본 정부가 공모한 ‘항공기용 선진시스템 기반기술 개발(항공기 시스템 혁신기술개발)’로 채택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2009년부터 연구를 시작하였다. 여기서 얻을 수 있는 연구결과를 보잉사와의 공동연구에서의 비행 실증시험에 연결함으로써 이 실증시험을 성공할 수 있었다고 한다.
○ 항공기라는 폐쇄공간에 수소가스를 이용한 연료전지 시스템을 탑재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행안전문제가 가장 중요한 과제였다. IHI제트 엔진에서는 일본에서 최대의 시장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어 항공기 장비제품 메이커로서의 경험이 풍부하다. IHI는 이번에 얻을 수 있는 경험을 기초로 재생형 연료전지의 소형화, 대출력화의 개량을 진행시켜 항공기의 저연비 및 환경부하저감에 기여하는 민간항공기의 보조전원의 제품화를 위해 검토할 것이다.
○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출연연구소(에너지기술연구원 등)와 삼성전자, LG전자 등의 기업체에서 연료전지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정부의 에너지기술개발사업의 연구개발지원과제의 추진으로 재생형 연료전지 등에 정부의 자금지원이 진행되고 있으며, 에너지기술평가원이 심사를 통해 과제를 선정하여 지원을 계속하고 있다.
- 저자
- Yuusaku Yach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4
- 권(호)
- 13(4)
- 잡지명
- 燃料電池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3~17
- 분석자
- 오*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