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하이브리드 차체 부품의 수명 주기 분석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자동차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선진 제조업체는 이를 만족하기 위하여 최신 생산 공정, 경량화 설계 및 안전기준을 적용하는데 집중하고, 연료 소비량 개선, 친환경성, 안락한 승차감, 안전성 및 경량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자동차 수명주기 분석(LCA, life cycle assessment)은 일반적으로 목표와 범위의 결정, 재고 분석, 영향도 평가, 해석의 4단계로 수행한다.

본문은 대량생산에 유용한 기술로 자동차 차체 부품의 수명 주기 분석에 관해 설명한다. 자동차의 3 종류 천정 크로스바(cross bars)에 대하여 단순 수명주기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기본적 에너지감소와 온실가스 배출 총량을 측정하였다. 자동차의 전 수명주기 동안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소재로부터 폐차할 때까지의 전 수명 주기 단계에서 재료와 전기 에너지 관점을 포함한 모든 비용을 고려하였다.

이 분석 결과에 의하면 1차 알루미늄을 사용한 VarioStruct 천정 크로스 빔과 기존형식의 천정 크로스 빔은 평균값을 나타내고, 2차 알루미늄을 사용한 VarioStruct 천정 크로스바가 가장 환경 친화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손익분기점을 나타내는 주행거리도 자동차 수명주기 범위 안에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국내에서도 2011년에 전기자동차의 수명주기 비용분석을 수행하였고, 2013년 현대기아차는 차량용 소프트웨어 개발 수명주기 관리 솔루션(SDLM)을 전사적으로 적용하고, 리콜사태 재발을 막기 위해 차량 개발로부터 생산 전 단계에 실명제를 도입하여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는 등 자동차 수명 주기 책임제 관리체제를 도입하였다.

국내 자동차 회사들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친환경, 저연비 테마로 경량화 프로젝트를 수행하여야 한다.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모듈화 기술개발에 관련한 자동차 차체 부품의 수명주기 분석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저자
F. Klocke, A. Kampker, B. Dobbeler, A. Maue, M. Schmieder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4
권(호)
15()
잡지명
Procedia CIRP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484~489
분석자
나*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