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 하부차체 플랫폼의 모듈화 설계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선진 자동차 제조업체는 환경 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경량화 및 안전기준을 적용하고, 연료 소비량 개선, 친환경성, 안락한 승차감, 안전성 및 경량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이 요구하는 다양한 차종을 만족하기 위해 하나의 플랫폼으로 여러 종류의 차량을 만들어내는 차세대 통합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통합 플랫폼을 사용하면 개발 단계에서 파생 차종을 설계하기 쉽고, 비슷한 형태의 차량은 물론 세단, 해치백, 쿠페, SUV 등 특성이 전혀 다른 형태의 차종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통합 플랫폼을 통해 개발 기간과 비용을 단축할 수 있고, 부품 공용화로 인한 비용 감소, 생산성 향상, 혼류 생산을 통한 생산 유연화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통합 플랫폼은 플랫폼의 모듈화로 달성할 수 있고 소비자들이 원하는 다양한 차량을 적은 비용으로 만들어 낼 수 있다. 엔진, 변속기, 섀시 등 자동차의 일부분 조립이 완성된 모듈 형태로 공급받아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키는 모듈화는 제조과정과 부품 단순화로 불량률 감소, 조립공정 단축, 효율적인 부품 관리 등 많은 장점이 있습니다.

 

폭스바겐은 2012년 신형 MQB, MLB 플랫폼을 적용하기 시작하였고, 볼보는 차세대 SPA 플랫폼의 개발과 동시에 자동차의 모듈과 주요 시스템을 공유해 40% 이상의 부품공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GM은 2012년 글로벌 플랫폼 D2XX를 공개하고 22억 달러를 투자하여 2018년까지 D2XX플랫폼으로 250만대 이상의 차량을 생산할 계획이다.

 

르노삼성자동차는 부산공장에서 생산하는 모든 자동차를 르노의 CMF 플랫폼 기반으로 통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 자동차 회사들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친환경, 저연비, 모듈화 테마와 함께 통합 플랫폼 방식을 도입한 새로운 생산시스템 설계를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저자
Abdo Al-Zaher, Waguih ElMaraghy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4
권(호)
17()
잡지명
Procedia CIRP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380~385
분석자
나*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