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다이캐스팅용 금형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금형은 우수한 규격의 정밀도나 미려한 주물 표면, 생산성 향상에 특징이 있는 주물을 생산하기 위한 형틀이다. 자동차 관련을 중심으로 OA기기, 가전제품, 건축용품 등을 생산하는데 금형을 이용한 중력다이캐스팅법, 저압다이캐스팅법 및 고압 다이캐스팅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본고는 금형공간을 구성하는 부분과 기능부분에 관하여 합금의 응고특성, 이형성, 유동성, 열간균열특성 등을 고려한 종합적 검토에 의한 중요한 기술 자료다.

중력주조금형과 저압주조금형 및 고압 주조금형 공법을 비교해보면, 가압방식은 중력주조 0.003∼0.01MPa, 저압은 공기압으로 0.01∼0.05MPa, 이고 고압 다이캐스팅법은 40∼80MPa이며 이형제 도형 두께는 중력주조 300∼1000㎛, 저압주조 150∼500㎛, 고압주조에서 0.5∼1㎛이며, 금형 재료는 모두 열간 공구강을 사용하고 있다.

중력주조나 저압주조는 금형에 큰 영향이 없기 때문에 금형 구조면에서 공통적으로 설계하는 특징이 있다. 금속중자가이드와 주형가이드의 갭은 원형 직경 25mm 일때 갭은 0.08mm 이하 4각형 160∼250mm일때는 갭이 0.53∼0.82 이다 제일 자근 것과 큰것을 예로 들었는데 금형 중자 크기가 클수록 갭은 커지는 경향이고 모래중자와 금형사이의 갭은 금속중자를 사용 했을 때보다 갭이 큰 편이다.

금형에 대한 문제점은 금형수명, 치수 변형, 균열, 열충격 크랙 등이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위해서 열처리전의 기계가공 시 잔유 응력 제거, 적당한 담금질공정 선택 등이 중요하다.

우리나라도 (주)동우에이치에스티, (주)신아 열처리, 제일진공에이치티 등 다수의 열처리 공장에서 금형 열처리도 하고 있으며, 자동차 부품에 사용되는 다이캐스팅용 대형금형 열처리도 CAE해석/ 유한요소법 등을 활용하여 더 정밀한 금형 열처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저자
Hiroshi T^erauch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86(9)
잡지명
鑄造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745~749
분석자
황*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