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수명주기 관점으로부터 전기 자동차 배터리의 1차 및 2차 사용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배터리 사용과 관련이 있는 환경 영향은 직접적으로 전기 생산과 관련이 있다. 전기 생산 믹스는 RES 변화 때문에 지역 간 및 일일, 계절적 기준으로부터 변하고 있다. 이 때문에 2011년 폴란드, 포르투갈, 프랑스 3개 유럽 전기 믹스는 일상 및 계절 변화를 고려하였다. 전기 믹스는 폴란드의 화력발전, 프랑스의 높은 지분의 원자력, 포르투갈의 높은 지분의 재생에너지를 기준으로 선정되었다.

 

수명 및 주기에서 전기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배터리는 전기 자동차에 더 이상 적절치 않는 시점에 도달할 것이다. 그러나 그 배터리들은 정지 에너지 저장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정용 저장 전기는 3개의 재생에너지, 원자력 및 화석 에너지의 혼합으로 이용될 수 있다. 가정용 저장 전기를 생산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인데 재생에너지와 원자력은 근본적으로 가 거의 배출되지 않으며 화석 에너지 발전에도 탄소 포집장치의 개발로 과거에 비하여 상당히 많은 배출을 감축시키고 있다.

 

1차 배터리 사용을 위하여 3개의 자동차 사용 시나리오가 3개의 서로 다른 운전 프로파일을 전개하면서 평가되고 있다. 2차 배터리 사용을 위하여 첨두 세이빙 및 부하 시프팅의 에너지 저장에 대한 2개의 시나리오가 분석되었다. 가정용 에너지 요구사항을 고려하면, 배터리 팩은 부하 시프팅으로 1.82차 사용할 수 있으며 첨두 세이빙으로 3.3년 사용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자동차 배터리의 1차 및 2차 사용을 확대시키려면 배출을 규제하는 정부의 의지와 정책이 중요하다. 가정용 배터리의 확보로 전력망의 첨두 부하 시기를 피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고 필요시 사용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 변화가 요구된다.

저자
Ricardo Faria, Pedro Marques, Rita Garcia, Pedro Moura, Fausto Freire, Joaquim Delgado, Anibal T. de Almeid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262()
잡지명
Journal of Power Sour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69~177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