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 내 온도 측정을 이용한 새로운 효모활성 평가기술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효모를 이용하는 양조공업은 몇 개월 이상 걸리는 장기간의 대규모 장치산업이다, 미생물의 생물반응 변화에 대한 최적화가 어려우므로 관여 미생물의 특성파악이 중요하다. 간장 양조에는 국균, 효모, 유산균의 3가지 균류가 필요한데, 효모는 당을 발효하여 알코올과 향기 성분을 만들어주므로 풍미와 향을 중시하는 양조산업에서 효모의 활성이 제품의 기호성을 좌우하는 요소이다. 따라서 효모의 품질관리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고, 간편한 효모의 활성평가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 효모 활성의 평가기술은 콜로니 형성능의 평가(CFU/mL), 세포내 환원력, 세포내 pH(ICP : inductively coupled plasma 발광분광분석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본고에서 새로운 효모의 활성평가 지표로서 개개의 세포내 온도를 복수의 기능성 유닛을 가진 고분자 형광프로브로써 효모세포의 온도변화를 형광변화 모니터링하는 기술에 관하여 소개하였다.
○ 생체 내의 표적 물질을 선택적으로 감지하여 형광변화를 일으키는 형광 화학센서(형광 프로브)는 표적 물질이 인식자리에 결합하면 형광 변화를 보이는 분자 인식 방법, 표적 물질의 결합자리와 지시약의 변위로서 형광이 나오는 변위 감지 방법, 표적 물질과 결합하면 유기 반응을 통해 형광 변화를 나타내는 화학 정량계 방법 등이 있다.
○ 국내에서는 ‘바이오 물질에 선택적인 지능형 형광센서 개발’(윤주영, 2012)을 비롯하여 ‘고초균에 의한 재조합 골형성단백질의 생산과 공정 모니터링을 위한 광학 센서막 제조’(김춘광, 2010), ‘세포 실험용 다중 주파수 동시 노출 장치’(김태홍 등 2012), ‘유전자의 세포내 도입을 위한 나노 미립자 복합체 개발 연구’(이경화 2004) 등이 있다.
○ 살아 있는 세포의 분자 이미징 처리는 세포 또는 분자 수준에서 일어나는 대사물질 변화, 질병의 원인물질 또는 주입 약물의 생체현상을 정량화해 분석하는 기술로서 관련 산업에 막대한 경제적 산업적 파급효과를 예상할 수 있으므로 실용화 연구 개발이 더욱 기대되고 있다.
- 저자
- Toshikazu Tsuji, Seiichi Uchiyam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109(7)
- 잡지명
- 日本釀造協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487~493
- 분석자
- 김*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