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로 가소화된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핫멜트 및 감압 접착제
- 전문가 제언
-
○ 종래 용제계 접착제에는 석유를 원료로 하여 얻어지는 각종 합성수지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아세트산비닐, 염화비닐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석유, 석탄, 천연가스 등의 화석자원은 오랜 세월 지중에 고정되어온 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제품을 연소시킬 경우, 본래 대기 중에 존재하지 않고 지중 깊숙이 고정되어있던 탄소가 이산화탄소로 되어 지구온난화의 원인으로 되어있다.
○ 한편 식물 유래의 수지는 원래 식물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와 물을 원료로 하여 광합성반응에 의해 생성한 것이다. 이 때문에 식물 유래의 수지를 연소하여 이산화탄소가 발생해도 이 이산화탄소는 원래 대기 중에 있었던 이산화탄소에 상당하는 것이므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수지는 플러스 마이너스 제로로 되며, 결국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총량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 셀룰로오스 유도체에 대하여 에테르결합과 에스테르 결합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도입하는 아실기의 알킬 체인이 긴 셀룰로오스 유도체도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카본뉴트랄 관점에서 식물 유래의 수지로서 지방족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특히 폴리젖산계수지 등이 활발히 검토되고 있다. 이 수지의 용도의 일예로서 접착제나 점착제 등이 개시되어 있다.
○ 이 발명은 셀룰로오스에스테르와 가소제로 된 핫멜트 접착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소제는 접착제의 약 30 ~ 75wt.%를 차지하며, 물체에 접착제를 적용하는 방법, 물체에 적층체를 만들기 위해 핫멜트 접착제를 냉각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 셀룰로오스계 접착제는 1970년대 후반부터 개발되기 시작하여 오랜 세월이 지났지만 지금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발명과 같은 특허는 우리나라는 물론 일본에서도 찾아볼 수 없으며, 이 발명에서는 우리나라도 특허출원 대상으로 지정하고 있어 국내에서 이 기술을 활용할 경우 주의를 요한다.
- 저자
- Celanese acetate LL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WO20140163916
- 잡지명
- wo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0
- 분석자
- 서*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