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연료 재장전 없는 진행파 원자로 및 CANDLE 방법의 연구동향
- 전문가 제언
-
○ 원자로 운전을 100년 이상 하여도 핵연료의 재공급이 필요하지 않은 꿈의 차세대 원자로가 진행파 원자로(TWR, Traveling Wave Reactor)이다. 이는 우라늄 농축 후에 잔존하는 열화우라늄까지 핵연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핵분열성물질을 거의 완전하게 연소시키기 때문에 조준위 방사성폐기물 저장시설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는 원자로이다. 또한 핵연료가 서서히 연소되면서 핵분열 반응속도가 스스로 조절되기 때문에 제어봉이 불필요하고 안전성이 매우 뛰어나다.
○ TWR에서는 핵분열성물질이 핵분열물질로 변환되어 핵연료 증식이 가능하도록 핵분열반응의 진행파를 서서히 자체 조절을 통해 전개되며 천연우라늄 또는 열화우라늄을 초기연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농축과 재처리 없이 매우 높은 연소도를 달성할 수 있다.
○ 이러한 장점들을 실제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이론적 수치해석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는데 특히 수명주기 중의 중성자속과 핵종밀도 및 축방향으로의 일정한 연소형상(CANDLE, Constant Axial shape of Neutron flux, nuclide densities and power shape During Life of Energy)의 연소방법이 제안되어 있으며 이는 납-비스무스 냉각 원자로, 고온가스 냉각 원자로, 소형 장수명 고속로, 초임계압수 냉각 고속로 및 소듐 냉각 고속로 등 많은 원자로에 적용되어 왔다.
○ TWR의 상용화 가능성은 2020년 이후로 내다보고 있으나 장기간 운전에 따라 진행되는 연소핵반응과 관련하여 해결되어야할 구조재의 내구성 등 다수의 난제가 존재하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 국내에서는 2011년도에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TWR에 대한 기술적 타당성 분석을 수행한 바 있다. 이에 의하면 향후 세계적으로 사용 후 핵연료의 재활용보다는 핵분열에너지의 자원 확대가 추구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고 따라서 앞으로의 TWR 연구가 중요하다고 전망하였다.
- 저자
- Meiyin Zheng, Wenxi Tian, Xiao Chu, Dalin Zhang, Yingwei Wu, Suizheng Qiu, Guanghui Su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4
- 권(호)
- 71()
- 잡지명
- Progress in Nuclear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95~205
- 분석자
- 성*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