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럽 원자력 정책과 고온원자로 및 원자력 열병합발전의 잠재적 영향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전 세계적으로 원자력이, /증기 담수화, 주거/상업 지역의 지역난방, 산업적 프로세스 열 및 연료 합성으로, 크게 4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원자력 열의 1% 미만이 비-전기 적용에 사용되고 있다. 74개 원자력발전소로부터 약 750원자로 운전 년(Reactor Operation Year)의 원자력 열/증기 경력이 있다.

 

원자력 열병합발전의 강점은 열 손실 최소화. 에너지 효율 개선, 배출 감축, 에너지 안보 개선, 여러 산업에서 원자력 열병합발전 장기적 공급이라고 할 수 있다.

 

노르웨이 할덴 비등수로가 열 공급 목적으로 건설되어 1964년부터 인근 제지공장에 20MWth 열을 공급하고 있다. 스위스 고센 가압수로는 열 출력 2806MWth으로부터 전기 985MWe를 생산하고 45MWth 열을 1979년부터 1.9km 떨어진 판지 공장에 공급하고 있다.

 

미국에서 차세대원자력발전소(NGNP) 프로그램은 다음 10년 내에 HTR 시리즈 초호기의 허가를 목표로 하고 있다. HTR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그들은 독일에서 성공적으로 입증되었다. 영국 및 미국과 실험원자로는 일본 및 중국에서 현재 운전 중이다. 중국은 역시 다음 10년 안에 HTR 시범 발전소를 건설하여 시운전에 들어 갈 것이다.

 

우리나라는 23기의 원전을 운영하고 있은 원자력 선진국으로서 국제적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원전 근처에 산업단지 또는 주거 단지를 조성하여 원전에서 폐기되는 열을 이용하는 정책 및 기술 개발로 원전의 경제성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원전에서 생산되는 에너지 60%가 폐기되고 있는데 이 열에너지를 활용한다면 에너지 측면과 감축 측면에서 엄청난 이득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Michael A. Futterer, Johan Carlsson, Sander de Groot, Marc Deffrennes, Alexandre Bredimas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271()
잡지명
Nuclear Engineering and Design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73~78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