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에서 핵 의사결정에 있어서 위험인식, 신뢰와 대중 참여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핵에너지가 가능한 에너지선택이 될 수 있는데 범위는 비교적 작은 것이 어떻게 공중의 입력들이 핵 의사결정을 증진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알려졌다. 이 논문은 그것의 위험지각, 신뢰와 공중약속규모를 시험함으로 핵에너지에 관련하여 공중의 의견들의 좋은 이해를 제고하는데 목적을 둔다.
○ 홍콩주민들의 여론조사에 근거하여, 우리들은 약간의 관측을 해본다. 첫째로 우리들은 핵에너지의 관계에 있어서 위험지각, 신뢰, 또 공중약속사이에 이론적인 관련들을 확인하는 경험적인 증거를 제공한다. 둘째로 우리들의 이론적인 복귀 분석은 인구통계학, 신뢰, 그리고 공중약속의 효율의 지각들은 더 큰 위험과 핵 반대의 지각들을 설명하는 요소들이다.
○ 셋째로 우리의 개념적 모델은 신뢰개념의 복합성을 명백히 하고, 또 위험지각과 핵 선택의 관계에 있어서 영향을 주는 신뢰의 견지를 상술한다. 우리들의 발견들은 홍콩정부는 핵 의사결정에서 탁월한 주의를 받는 신뢰건립을 확실하여야 하고, 그리고 그것은 비스니스부분에 과도한 신뢰를 피하고 또 핵 의사결정에서 강화하는 신뢰에서 자신을 위해 열쇠역할을 가정해야 하는 것을 제안했다.
○ 에너지 이용효율을 높이고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을 도입하는 것은 핵폐기물과 지구온난화라는 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선택이지만 단기적인 효과만을 기대할 수 있을 뿐이다. 장기적으로 에너지소비가 늘어나면 그것도 실패로 돌아가기 때문이다. 우리 한국이 장기적으로 에너지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려면 순환적인 에너지소비 시스템을 개발하고 여기에 우리나라의 생활방식을 맞추는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 순환적 에너지소비 시스템이란 지구의 에너지흐름의 평형을 깨지 않으면서 에너지를 생산하고, 이때 생산된 양만큼만 소비하는 것을 말한다. 현재 국내에도 이러한 지혜로운 순환시스템을 개발하여 거기에 맞게 생활을 바꾸지 않으면 종국적으로 에너지파국뿐만 아니라 문명의 파탄까지 맞을지 모른다고 생각된다.
- 저자
- Daphne Ngar-yin Mah,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4
- 권(호)
- 73()
- 잡지명
- Energy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368~390
- 분석자
- 김*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