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온 다이캐스팅용 금형 구조

전문가 제언

자동차와 이륜차에 대량 사용되고 있는 다이캐스팅 부품은 지구의 온난화와 환경오염방지 및 연비절감 등의 세계적인 문제 해결책의 하나로 꾸준히 추진되고 있다. 차량용 다이캐스팅 부품은 주로 알루미늄 합금이며 마그네슘 합금도 증가 추세로 그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다이캐스팅 공법은 여러 가지 장점이 있으나 고온 용탕 사출 작업으로 인한 금형 수명이 단축되고, 내부에 기공이 발생하기 쉽고, 기계적 성질 및 기밀성 저하하며, 역구배 부위 성형의 어려운 점 등이 있다.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특히 다이캐스팅용 금형의 수명 연장을 위해서 지금까지는 금형 재료에 대한 연구가 많았으며 열 피로나 마찰 및 마모에 견딜 수 있는 고온 재료에 대한 연구를 많이 하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 부품이 대형화 함으로서 금형재료의 인성과 고온강도의 양립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열간계 공구강인 SKD61종을 기본으로 하여 Mo을 함량을 높이고 Si량을 낮추는 신강종이 추진되고 있으며 또한 고가의 Mo사용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저렴한 Mn이나 Cr을 이용하여 원가 절감과 자원 절감을 꾀하고 있다.

 

이 발명품은 금형의 구조를 변경하여 열전도도가 높은 재료를 삽입물로 사용하고 그 위에 내마모성이 높은 재료를 씨우고 최외각에는 경도가 높은 재료를 코팅하여 사용하는 획기적인 방법이나 금형에 삽입물을 넣고, 그 위에 윤곽면(coutored surface)을 설치하는 실 작업에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금형 종류별 생산비율을 보면 사출금형 41%, 프레스 금형 40%, 다이캐스팅 금형 5%, 기타 단조, 고무, 유리 금형 등이며 매년 10% 내외로 증가하고 있다. 다이캐스팅 금형 비중은 5%에 불과하나 타 금형에 비하여 복잡하고 정밀성을 요하여 금형 가공비가 높다. 따라서 금형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서는 재료의 재질개량과 금형구조 연구가 더 한층 필요한 분야라고 생각한다.

저자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WO2014130245
잡지명
Die configuration for high temperature diecasting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8
분석자
이*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