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특정 크기의 토양 입자로 채워진 칼럼에서 계면활성제 촉진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본 연구의 칼럼 실험이 특정 입자 크기를 가진 네 가지 토양 시료로 dodecylbenzenesulfonic acid sodium salt(SDBS), octylphenol ethoxy- late TX-100) 및 cetylpyridinium chloride (CPC)의 계면활성제에 의하여 안정화된 CNT 현탁액의 이동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부식산은 토양 시료로부터 추출되었고 SOM이 그 이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기 위하여 규사로 코팅되었다.

 

연구 결과는 양전하 CPC-CNT가 칼럼에 완전히 보유된 반면에 음전하 SDBS-CNT와 TX-100-CNT는 칼럼을 뚫고 나갔다. Pearson 상관관계 분석으로 SOM보다는 토성이 이동도를 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형 효과를 포함하여 입자 표면의 정전기 인력과 침전이 CNT 보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계면활성제의 용도 중에서 환경 분야에서의 사용 가능성을 보여 주었고, 계면활성제-CNT의 종류가 칼럼에 채워진 물질의 보유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그 결과로 토양 관련 연구에 사용될 계면활성제는 용도에 따라서 달리 선택되어야 한다.

 

본 연구와 관련된 국내 연구로는 계면활성제 탈착 촉진법을 이용한 오염된 지반의 정화방안이 있었고 그 연구 결과 지반 오염물질이 소수성이고 난분해성이 클수록 계면활성제 용액을 이용한 지반정화 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에서 수행된 다수의 환경 관련 연구들 중에서 하나는 수성 매트릭스에서 안정된 CNTs의 콜로이드 안정성과 퇴적 구조에 관한 것이었다. 그 연구결과에 의하면 CNT가 수계 시스템으로 배출된 후 CNT 덩어리 구조의 발생이 밝혀졌다. 장기간 대부분의 CNTs는 모든 수계 시스템에서 덩어리를 만들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추가 연구에 CNT 덩어리의 생태 독물학적 영향이 포함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계면활성제로 안정된 MWCNT와 토양 입자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은 이동과 보유의 근본적인 메커니즘을 다루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새로운 연구결과는 환경 관련 이동과 CNTs의 생태적 위험성을 평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저자
Yinying Lu, Kun Yang, and Daohui Li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192()
잡지명
Environmental Pollu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6~43
분석자
현*옥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