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화학작용제 오염 징후가 있는 표면에서 샘플링 매체에 의한 시료수집

전문가 제언

화학작용제 부산물이나 중간체(intermediates)들로 오염된 표면에 살포한 다음 쉽게 떼어 낼 수 있는 샘플링 매체(sampling media)를 적용하여 오염물질의 회수율(recovery percentage)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화학테러의 조사, 화학무기 사찰, 화학작용제 오염시설의 제독 후 제독수준 평가, 화학오염 확산 및 피해예측 연구 등과 관련한 표면 샘플링에 참고할 가치가 있다.

 

앞으로 화학테러 및 환경오염과 관련된 여러 화학물질들을 대상으로 하여 화학물질 흡수력이 우수하며, 표면에 장기간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고 회수하기 쉬운 새로운 샘플링 매체들을 발굴하여 여러 가지 재질의 표면에 대한 회수율 시험데이터를 추가로 확보할 필요가 있다.

 

화학물질에 의한 오염 조사와 피해 예측이 더 정확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표면 샘플링과 더불어 대기 샘플링에 관한 데이터가 함께 필요하며, 샘플링 된 극미량 화학물질의 정량분석에 필요한 화학분석 기술개발도 뒷받침되어야 한다.

 

국내에서 아직까지 유독 화학물질의 표면 샘플링과 관련한 연구사례는 없으나, 앞으로 지하철역이나 사람들이 밀집된 공공시설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면 재질들을 대상으로 하여 화학테러 관련 물질, 중금속, 발암물질 등의 유독성 화학물질이나 방사능 오염물질의 오염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샘플링 방법과 샘플링 매체의 선정, 그리고 이들의 회수율 높이는 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공공시설에서 화학테러나 유독가스로부터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공공시설의 구조적 특성이 반영된 오염물질의 대기확산 모델(atmospheric diffusion model)이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확산 모델의 개발과정에서 오염물질의 확산시험과 표면 및 대기 샘플링에 의한 오염농도 분석을 통해 확산 모델의 검증작업이 수반되어야 한다.

저자
Deborah L. Behringer,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241()
잡지명
Forensic Science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7~14
분석자
양*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