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형 연료전지의 표준화 동향
- 전문가 제언
-
○ 일본에서의 가정용 연료전지 ENE-FARM의 상품화경위와 이와 병행하여 실시된 규격개정, 공통인증기준 및 표준화와의 상호관계 등을 뒤돌아보고 이들을 기반으로 한 고정형 연료전의 일본 표준화작업과 국제표준화 동향을 소개하고 있어 막 걸음마단계에 들어 선 우리에게 크게 도움이 된다.
○ 고유가 지속 등으로 전 세계가 안정적 신재생에너지 개발 보급에 눈을 돌리는 가운데, 연료전지에 대한 한국산업규격(KS)이 제정돼 2014년 1월 9일 고시됐다. 산업통상자원부 기술표준원은 연료전지의 상용화 전망에 따라 지난해 마련된 국제규격에 따라 연료전지 모듈과 연료전지 용어에 대한 KS를 마련, 이날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연료전지 모듈(Fuel Cell Module)은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성하는 여러 장치 중 발전시스템 전체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으로, 실제 전기와 열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정된 규격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의 연료전지기술위원(TC105)에서 2013년 9월 하나의 규격으로 통합?정리된 것을 기술적 내용 변경 없이 이번에 도입했다. 연료전지 모듈 표준은 연료전지 모듈의 안전?성능요건, 설계요건, 작동시험 및 정기점검시험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고정형?휴대용?수송용 연료전지 모듈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 소형연료전지분야의 국제표준화작업에 일본이 깊이 국제경쟁력확보에 크게 공헌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우리의 국제표준화활동은 가시적인 것이 없다. 우리의 개발품이 국제경쟁력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 보급의 가장 큰 장애요인이었던 백금촉매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나노프레임 백금-니켈 2원합금 촉매 및 고온에서 작동되는 고고체고분자 전해질 막 등이 개발되고 있어 기술개발에 의한 가격저감효과가 크게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어 본격적인 보급시기가 앞당겨 질 것으로 전망된다.
- 저자
- O. Tajim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4
- 권(호)
- 93(1)
- 잡지명
- 日本エネルギ―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35~45
- 분석자
- 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