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페트병 등의 라벨 부착용 접착제 조성물

전문가 제언

현재 플라스틱 포장용기의 수요는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른 소비문화의 변화 및 사회적인 간편화 추세에 부응하여 기호음료, 건강음료, 생수 등의 소비와 함께 가파른 신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플라스틱 소재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는 환경호르몬과 같은 유해문제를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타 용기의 소재를 대체하여 그 수요가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에서는 페트병 생산업체인 효성, 삼양사, 한일제관, 롯데알미늄, 두산 등이 풀가동해도 페트병의 수요를 충당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화석자원의 고갈우려와 자원절약의 관점에서도 급증하는 폐플라스틱에 대한 재활용 기술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현재 폐플라스틱의 리사이클에 대한 기술은 재료 리사이클, 화학 리사이클, 열 리사이클 등 많은 방법이 실용화되고 있지만 재활용보다는 환경에 대한 부하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주요 목적으로 되고 있다. 앞으로는 자원의 확보를 위한 폐플라스틱의 재활용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 발명은 음료수 병이나 용기의 재료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소재, 특히 페트병 등의 외부표면에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라벨을 부착하기 위한 생물유래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한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접착제의 조성은 회수된 페트병의 뜨거운 알칼리 세척에 의해 쉽게 용해되어 분리, 제거되므로 페트병의 재활용을 용이하게 한다. 특허청구권 범위를 보면, 신규 물질에 관한 것보다는 기존 물질의 배합 및 중합한 것으로 특허권 침해 여부의 문제는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환경부가 2014년 7월 22일부터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을 개정, 시행함에 따라 기존의 4대 포장재와 5대 제품군 외에도 모든 합성수지 재질의 포장재에 대해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의 대상이 확대되었다. 한국페트병재활용협회, 한국페트병자원순환협회, 한국폐기물협회, 한국환경공단 등에서는 페트병의 수거 및 재활용을 촉진하고 있다. 화석자원이나 천연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로서는 환경적인 측면에서뿐 아니라 자원의 확보라는 측면에서도 리사이클 분야는 매우 중요한 산업으로 발전시켜나가야 할 필요성이 크다.

저자
Danimer Scientific, LLC.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WO20140127362
잡지명
PC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7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