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품 방사선조사 기술의 동향

전문가 제언

방사선 기술은 일반적으로 방사선 생산 기술, 방사선 적용 기술 등으로 대분되고 있다. 방사선 적용 기술 가운데 식품 방사선조사(irradiation) 기술은 현대에는 주로 건전성과 경제성 관점에서, 생물학적 손상(예: 지질 산화)을 피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저선량 방사선으로 식품을 안전하고 장기간 멸균 상태로 보존하기 위해 쓰이고 있다.

 

식품 방사선조사 기술이란 낮은 피폭선량의 방사선이라는 도구를 식품이라는 대상에 작용시켜 식품의 안전성, 안보(=안전보장), 유통과 관련하여 원하는 기능을 얻으려는 물리적 비가열 처리 기술이다.

 

? 얻어지는 기능은 식품에 쪼여지는 방사선(예: 감마선, 전자빔) 피폭선량(단위: kGy)의 크기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양하다: 1) 발아 억제; 2) 숙성 지연; 3) 해충 구제; 4) 기생충 불활성화; 5) 부패 유기체 감소(진열기간 연장); 6) 무포자 병원균 감소; 7) 병원균 불임.

 

? 방사선조사를 받는 다양한 식품은 다음과 같다: 감자, 양파, 마늘, 바나나, 딸기, 버섯, 건어물, 돼지고기(선모충), 고기. 조개류, 양념류. 또한, 방사선은 건조식, 비상식, 환자용 멸균 영양식 등에도 조사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91년에 방사선조사를 몇 개 식품에 허용하였고, 2007년도 현재 26개 식품에 품목별 허용선량 방식으로 규제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우리나라 허용선량은 0.15, 0.25, 1, 5, 7, 10 kGy 등이다. 선량 5, 7, 10kGy 등은 살균/살충 작용으로 쓰이고 있다.

 

국내 현황 및 향후 연구 개발 동향 : 식품 방사선조사 기술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많은 연구가 1990년대부터 수행되고 있다. 주요 연구 주제는 미생물학적, 물리화학적, 관능학적 품질 관리의 관점에서 방사선이 식품의 성분에 미치는 안전성 영향 평가 기술 개발, 방사선조사 여부 확인 기술 개발 등이다. 최근에는 틈새시장으로 특히 특수 의료용 병원식품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2014년에 충남대학교에서는 방사선 멸균 환자용 균형 영양식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향후에는 식품 방사선조사 기술의 사업화 관점에서 틈새시장을 이끄는 기술 혁신이 필요하다.

저자
PB Roberts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105()
잡지명
Radiation Physics and Chemi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78~82
분석자
김*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