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레이 이중 검출기 기술
- 전문가 제언
-
○ 디지털 방사선촬영(DR; digital radiography) 시스템에 사용되는 단일 조사 이중 검출기 위상차 대조 이미지화 기술에서는 어떤 피사체(예: 환자)에 엑스레이 방사선을 한번만 피폭시켜, 즉 단일 조사를 통해 대상의 이미지 두 개를 동시에 추출한다. 이러한 경우에, 피사체는 이중 조사를 통해 대상의 이미지를 추출하는 기술에 비해 낮은 방사선 선량에 노출된다.
? 엑스레이 선원으로부터 나온 엑스레이는 피사체에 피폭된다. 이때에 피사체에서 여러 방향으로 발생하는 산란선이 검출기에 도달되면 이미지 품질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악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엑스레이 격자가 피사체 촬영 부위 뒤쪽과 이중 검출기 앞쪽에 배치된다.
○ DR 시스템에 사용되는 검출기 기술에서는 이중 에너지 차감(DES; dual energy subtraction)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DES 기법에는 피폭 회수에 따라 단일 조사 방식, 이중 조사 방식 등이 있다.
? 단일 조사 방식에서는 엑스레이를 일회만 피폭한 후에 두 개의 검출기에서 각각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중 조사 방식에서는 에너지 역이 상이한 엑스레이를 이회에 걸쳐 연속적으로 피폭한 후에 후처리 단계를 거쳐 이미지를 획득한다.
○ DR 시스템에 사용되는 검출기는 다섯 가지로 구분되고 있다. 1) 전하 결합 이미지 센서(CCD; charged coupled device); 2) 저장 인광체(storage phosphor) 이미지 판; 3) 광자다이오드; 4) 광도전체(예: 비정질 셀레늄 a-Se, 비정질 실리콘 a-Si); 5)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
○ 국내 현황 및 향후 연구 개발 동향 : 엑스레이 이중 검출기 기술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2011년에 명지대학교에서는 TFT 기반 평판형 검출기를 구현하여 흡수-기반 단일 조사 기법의 성능을 연구하였다. 향후에는 위상차-기반 단일 조사 기법의 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D Wang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4
- 권(호)
- 95()
- 잡지명
- Radiation Physics and 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86~90
- 분석자
- 김*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