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기능성 단량체 사슬 스페이서 길이가 실험적 치과용 접착제의 결합 강도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제언

본 연구에서 단량체의 탄소 사슬 스페이서가 두 단계 SES의 접합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이 평가되었다. 세 가지 acrylamidophosphonic산 단량체들이 상아질 및 법랑으로 SEP가 형성되는 동안 결합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조사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스페이서 사슬 길이가 다른 실험적인 SEP 사용에 의한 법랑이나 상아질에서 직접적인 전단 결합 강도 면에서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더욱이 시험된 세 개의 SES는 법랑이나 상아질 어느 것에 결합이 되던 형태적 유사성을 보여주었다.

 

SES 접착제를 위하여 기능적인 단량체로 써 포스폰산을 만드는 아크릴아미드 단량체의 사용으로 SEP의 pH를 쉽게 조정하는 방법이 제공되어 치과용 접착 시스템이 설계될 때 스페이서 사슬 선택의 폭이 더 넓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야노경제연구소에서 발간한 “치과기기, 재료, 치과용 기기·재료시장의 현상과 장래전망”(2014. 6. 30. 발간)의 치과용 재료시장 동향에 의하면 치과용 접착제가 새롭게 부가가치를 더한 신제품으로 수요가 모이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었다.

 

국내에서 본 연구와 직접 관련된 기술이나 논문은 별로 없었다. 현재 치과용 접착제는 치료한 환부에 인공재료를 치료 부위에 고정시키고, 노출된 상아질의 보호막역할을 하며, 깨진 정도가 심하지 않고 치관만 부러진 경우에 접착하여 교정하는 등 다양하게 사용되므로 상기의 보고서와 같이 고부가가치의 상품으로 각광받을 수 있다.

 

SBS 시험 방법은 사용의 용이성과 취급 과정에서 시료 파괴의 위험을 낮추므로 다양한 연구에 사용 가능할 것으로 사려 된다. 또한 추가 연구가 더 짧은 단량체의 사용을 통하여 얻어지는 접합부의 내구성과 얻어진 결과에 대한 기여를 평가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법랑과 함께 얻어진 SBS 결과가 만족할만하지만 직접적인 결합이 항상 임상 효과와 내구성의 전형은 아니다.

저자
Mathieu A. Derbanne, Vincent Besse, Steephane Le Goff, Michaeel Sadoun, and Thi Nhaan Pham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55()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Adhesion & Adhesive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95~105
분석자
현*옥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