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열팽창 입자로 변형된 폴리우레탄 접착제 구조의 기계적 및 열적 특성

전문가 제언

접착제 접합에서 TEPs는 재활용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TEPs는 점진적 가열에 의하여 기능적으로 변형된 접착제를 만들므로 새로운 목적을 위한 접착제 구조의 변형에 사용될 수 있다. 현재 TEPs는 종이 제조 공정, 효율적인 포장, 건설용 및 냉동고 단열재로 사용되는 경질 발포체, 자동차와 가구, 건물 외관과 실내외용 장식, 방염 페인트, 단열재로 이용되는 연질 발포체 등 산업체에서 매우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본 연구 결과 TEPs 변형 접착제의 파손 조도는 TEPs의 첨가로 증가된 반면에 항복 인장 강도는 감소되었다. 입자가 최대로 팽창되는 온도는 TEPs 용량의 증가로 감소되는 TEPs의 농도에 따라서 변하였다.

 

국내의 접합제 접합과 열팽창에 관한 논문으로는 “접합제 접합된 자연섬유강화 복합재료의 파괴강도 특성에 미치는 섬유 방향의 영향”, “복합재료의 온도에 따른 열팽창 특성”과 “컵 원지의 벌크 향상을 위한 열팽창 미세입자의 적용”이 있었고 우리나라에 등록된 특허로는 “반응소결 탄화규소 소결체 접합용 접합제 및 이를 이용한 접합방법”(1020090076587, 2009.08.19.)과 “열 팽창한 미소구, 그 제조방법, 열팽창성 미소구 및 용도”(1020067009875, 2004.11.15.)가 있었으며 후자는 일본 특허(JP-P- 2003-00428337, 2003.11.19.)이었다.

 

지난 7월 중순에 MIT의 기계공학과 응용수학 연구진에 의하여 개발된 고체-액체 변형이 자유로운 의료용 로봇 신소재가 보고되었다. 그 신소재는 왁스와 폴리우레탄 발포 고무를 기반으로 합성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평소에는 폴리우레탄 격자 때문에 딱딱한 고체 형태지만 전류로 가열시키면 왁스가 녹으면서 액체와 흡사한 부드러운 유연성이 강조된 소재로 변신한다. 그리고 다시 온도를 낮춰 냉각시키면 본래 고체 형태로 되돌아간다.

 

접착제와 함께 TEPs 사용 개념의 성공은 TEPs와 접착 시스템의 결합에 달려있으며 본 연구가 예비연구인 만큼 그 분야의 상품화를 위하여 더 많은 연구 결과가 필요하다.

저자
M. D. Banea, L. F. M. daSilva, R. J. C. Carbas, and R. D. S. G. Campilh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54()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Adhesion & Adhesive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91~199
분석자
현*옥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