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 중국의학에서 홍화의 의학적 이용에 관한 더 많은 이해: 식물화학적, 약리학적 리뷰
- 전문가 제언
-
○ TCM에서 혈액 순환의 활성화와 울혈을 제거하는데 성공적으로 홍화를 사용한 임상적 치료에 대한 사례가 상당히 많다. 조잡한 추출물과 순수한 물질은 특히 심혈관과 뇌혈관에 여러 의학적 기능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홍화의 작용과 임상에 적용하는데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약리학적 효과와 HSYA의 기작에 대한 연구는 하였으나, 그것의 분포, 흡수, 대사와 배출 등의 본질적인 관계를 규명하지 않았다.
○ 추출된 순수한 퀴노칼콘의 약리학적 연구와 가능한 기작에 대한 연구를 하여야 되고, 그것의 구조와 기능 관계를 정립하는 주축이 연구되어야 한다. 그 외에도 polyacetyllene과 erythro-alkane-6.8-diols 같은 믈질의 기능과 기작을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부부의 약리학적 연구는 조잡하고 성격이 규명되지 않은 홍화 추출물로서 시행하였고, 더 많은 생물 활성 물질의 규명과 기작에 대한 연구와 동시에 서로 길항 작용과 상승 작용 관계를 규명하여야 한다. 추가하여 홍화의 부작용과 독성을 규명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 중국에서 오랫 동안 다양하게 연구하였고, 국내에서는 몇몇 분이 연구하여 활발하지는 않은 실정이다. 국내에는 경상대학교 장기철 교수 팀이 홍화의 알콜 추출물이 HO-1 (heme-oxygenase-1)을 통하여 항염증 작용이 있다고 밝혔다. HO-1발현 유도는 Nrf2 (NF-E2 related facor)를 세포질에서 핵으로 이동하고, NF-kB의 활성에 의하여 일어나고 있다.
○ 우리나라의 민긴 요법에서 홍화씨는 뼈를 튼튼하게 하는데 사용 되고 있다. 배재대하교 김세창 교수팀은 홍화씨 알콜 추출물로서 쥐의 골다공증에 효과가 있는데, 무기질의 함량이 많은 것과 관련이 있다고 밝혓다. 서울 약대 이병훈 교수팀은 여러 한약제의 독성을 검사하던 중 홍화 추출물은 간 세포에 지방을 축적하는 부작용이 있다고 밝혔다.
- 저자
- Zhou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4
- 권(호)
- 151()
- 잡지명
-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7~43
- 분석자
- 정*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