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장 발효식품 생산에 중요한 T. halophilus와 T. muriaticus의 신속한 동정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유산균은 당을 발효하여 주로 젖산을 생산하는 세균으로 Aerococcus, Carnobacterium, Enterococcus, Lactococcus, Lactobacillus, Leuconostoc, Oenococcus, Pediococcus, Sporolactobacillus, Streptococcus, Tetragenococcus, Vagococcus, Weisella 속이 있다. 이들 유산균은 발효유, 젓갈, 김치, 간장, 빵, 포도주와 같은 각종 발효식품이나 음료생산과 관련된다.
○ Pediococcus와 Tetragenococcus속은 유산구균 중에서 유일하게 세포가 분열하여 4쌍의 구형세포(tetrad)를 만든다. T. halophilus와 T. muriaticus는 간장, 어간장과 같은 염장발효식품에서 발견되는 호염성 유산균이며 T. halophilus는 현재 스타터로 사용되고 있지만 T. muriaticus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균주와 다른 유산구균을 신속하게 구별할 필요가 있다.
○ 미생물 동정은 발현형적 방법(표현형, 수량분류, 세포벽조성, 지방산조성 분석)과 계통분류학적 방법(DNA염기서열, rRNA 상동성 분석)으로 구분된다. 최근 MALDI-TOF MS는 고분자물질의 질량분석법으로 개발되었으나 미생물 동정에도 이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비교적 새로운 동정방법으로 MALDI-TOF MS로 미생물 질량을 측정한 다음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정하는 방법이다.
○ 이 논문에서는 염장발효제품에서 분리한 20개의 미 동정된 균주와 동정된 Tetragenococcus속 균주(T. halophilus, T. muriaticus, T. koreensis, T. solitarius)와 유산구균 표준균주(Tetragenococcus, Pediococcus, Lactococcus, Leuconostoc, Enterococcus, Oenococcus 속)를 MALDI-TOF MS 방법으로 비교 검토한 결과 T. haolophilus와 T. muriaticus(표준 유산구균포함)를 신속하게 구별할 수 있었다.
○ 최근 한국수자원공사 이규철 등(2010)은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수인성 병원미생물 DB구축과 미생물동정 기술을 개발하였고, 농진청 축산과학원 김현욱 등(2012)은 MALDI-TOP MS 방법을 유제품에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MALDI-TOF MS 방법은 신속한 동정방법이지만 앞으로 발효식품관련 미생물의 더 많은 DB구축과 검출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등에 대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저자
- Takashi Kuda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4
- 권(호)
- 35()
- 잡지명
- Food Contro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419~425
- 분석자
- 민*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