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저탄소 연료생산을 위한 이산화탄소의 전해환원용 촉매 기술동향

전문가 제언

귀금속은 과전압이 낮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를 환원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에 불구하고, 아직까지 효율적인 이산화탄소 환원 능력을 가진 저렴한 촉매 시스템은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이산화탄소의 전기화학적 환원은 이산화탄소를 에너지 효율이 높은 제품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2014년 일리노이즈 대학의 Chicago 캠퍼스의 연구진은 폐 이산화탄소를 합성 가스로 변환시킬 수 있는 새로운 촉매를 합성했다. 합성 가스는 가솔린과 다른 에너지 제품의 선구물질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귀금속 촉매를 위한 유망한 비용 효율적인 대체물로서 이황화 몰리브덴을 제안하고 있다.

 

2013년 영국의 Michele Aresta 등은 배출 탄소의 가치화를 위한 촉매의 보고에서 이산화탄소의 화학물질과 재료, 연료로의 전환과 이산화탄소의 기술적 이용을 발표하였다. 이산화탄소의 전환을 통해서 얻어질 수 있는 다양한 화학물질과 최신의 촉매 전환 방법에 관한 연구로서 전기에너지 생산과 효율 증대는 이산화탄소 배출감소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국내의 광주과학기술원에서는 2010년 비귀금속 나노 담지촉매를 이용한 Zero-gap 전해시스템의 개발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산화탄소를 전기화학적으로 처리해 Chloride 연료의 생산이 가능한 새로운 촉매 개발에 관한 내용이다. 비가역, 가역 전기화학 산화 환원 반응시 고효율로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최적의 촉매재료의 제조를 연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촉매의 반응 메커니즘을 규명하며,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열화학적 내구성 연구도 수행하였다. 2012년 비귀금속인 철을 반응시켜 철/질소/카본을 산소환원반응의 활성점으로 하여 반응을 촉진시킨 연구도 수행 하였다.

 

이산화탄소는 지구온난화를 초래하는 대표적인 온실가스로서 배출량이 규제되고 감소되어야 한다. 하지만 지금과 같이 화석연료를 사용하여 에너지를 이용하는 방식을 탈피하지 못하면 배출량을 줄일 수 없다. 특히 화석 연료중의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석탄의 사용은 날이 갈수록 규제될 것으로 추측된다.

저자
Jinli Qiao,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43()
잡지명
Chemical Societ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631~675
분석자
이*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