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화생방 테러리즘에 따르는 사상자 관리

전문가 제언

오늘날은 세계 어느 나라에서나 화학, 생물학 및 방사성 물질로 대량 살상을 일으키는 테러리즘과 위험물질의 대량 누출로부터 완벽하게 안전할 수가 없다. 특히 화학물질은 살상을 일으키는 효과가 매우 빠르다. 특히 청산이나 신경작용제는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면 몇 분 안에 죽을 수도 있다. 반면 생물학이나 방사성 물질은 엄청나게 많은 양에 노출되었을 때 말고는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 대개 며칠의 잠복기가 있다. 그러나 위험은 더 심각할 수도 있다.

 

효과가 빠른 화학사태는 대처하는 시간이 결정적이어서 위험 대응계획이 빨리 그리고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어야 한다. 집단 사상자 사태발생 때 최초 대응요원이 사태를 재빨리 인식하도록 훈련하고, 독성물질 노출에 따라 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완화할 수 있는 가용 자원을 비축하고 있어야 한다. 그런 사태에 따른 잠재적 충격은 여러 나라와 국제기구가 갖추고 있는 대응준비를 재검토하고 필요한 때에 사태를 처리할 수 있는 새롭고 개선된 절차를 개발하게끔 이끈다.

 

화학사태의 위험대응 계획수립에는 최소 시간 접근법을 고려하여야 한다. 근래 EU의 응급 대응기구의 조사에서 화학 또는 방사능 사태에 대한 제독장비 배치에 20~30%가 10시간 이상 필요하고, 15~20%는 국가적인 능력이 없다고 하였다. 따라서 위험물질이 포함되는 집단사상자 발생 사태에 대한 준비가 빨라져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재난정보센터의 민방위 담당 부서에서 민간의 화생방 사태에 대응한 전국적인 계획수립, 교육 및 훈련, 작전수행 등을 맡고 있다. 그리고 각 지방자치 단체에도 이들을 수행하는 기구가 조직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은 교육 및 훈련이 형식에 그쳐 실제 상황이 발생한다면 매우 어려움에 처할 것으로 생각된다.

 

군의 화생방 대응교리를 참고하여 계획하고 실시하는 교육 및 훈련 내용 등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며, 이에 따라 화생방전이 포함되는 국방과학기술의 발전에 기여하도록 힘써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저자
Robert P. Chilcott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72()
잡지명
Environment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7~45
분석자
김*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