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암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식물유래 후생유전 조절제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암예방,암치료에 관련된 식물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 이용분야에서는 국내에서도 큰 관심을 끌고 있으나 식물화합물의 항암효과에 대해서는 이들 화합물의 생산에 미치는 후생유전적 변형 및 조절자(modulators)에 대한 연구는 외국에 비해 크게 활성화되고있지 못한 실정이다.

 

암발생은 증식,분화,침입 그리고 생존같은 주요 세포상의 과정과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돌연변이와 후생유전적 변형(alteration)에 의해 만들어지는 연속적인 형질전환 사건의 축적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다단계(multi-steps)사건이다.

 

후생유전적 기구(machinery)의 모든 구성성분의 집단적 deregulation이 암의 특징이다.이들 변형이 정상적인 유전자의 제어에 영향을 미치며 세포주기,DNA수선,세포생장분화 및 세포사멸을 통합하는 정상적인 세포상의 과정을 방해한다.

 

후생유전적 변형이 암발달초기에 나타나고 암발생을 선도하는 것으로 나타나면 후생유전적으로 활성있는 물질을 이용한 항암화학요법 전략이 항암치료의 유망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많은 전염병연구결과에 의하면 과일과 채소가 풍부한 식사가 많은 건강상 이로운 효과를 가지며 항염증,항산화,세포사멸촉진,분화촉진,항혈관발생 그리고 항 침투작용을 포함하는 효과들의 조합효과에의해 암발생을 축소할 수도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후생유전적 변이가 잠재적으로 가역적이며 암 발생의 초기단계에서 일

어난다.따라서 이때가 치료뿐만아니라 예방적 수단을 취할 수 있는 기회

가 될 수 있다.

식용 식물화학물질이 다양한 후생유전적 modifier를 방해하거나 후생유

전적 기작을 변경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저자
Michael Schnekenburger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32()
잡지명
Biotechnology Advan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123~1132
분석자
김*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