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물약제 동정의 르네상스: 형태에서 DNA까지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약초 및 기타 약용물질에 대한 검정을 위한 바코딩은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널리 이용되지않고 있으며 재래시장이나 한약방에서 별도의 제약없이 거래 유통되고 있다.그리고 근연종이나 유사 약초를 구별하기위한 국가기관이나 공공기관에서의 정확하고 신뢰성있는 검정은 이루어지지않고있는 실정이다.

 

약초를 증명하는데 사용되어온 전통적인 방법은 주로 형태적,현미경적 그리고 화학적 동정방법이다. 1811년 오스트리아 내과의사 슈미트에 의해 정의된 생약학이 생긴이래 이 기술이 약초증명과 품질관리 그리고 약전에서 세계적으로 주요한 방법으로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다른 모든 방법처럼 여러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DNA바코딩은 재료가 가지고있는 DNA의 짧은 지역에서의 종 특이 차이에 기초하여 종을 동정하는 기술이다.2003년 도입된 이래 상당한 관심을 끌고 있다.이 기술은 형태적 특성과 생리적 조건에 제약을 받지않으며 특별한 분류학적지식을 가진 전문가 없이도 종을 증명할 수 있다.그리고 이 방법은 특정 DNA바코드나 일반 프라이머(primer)로 표준화되며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유리하며 또 동정을 위한 일반적 표준을 정립할 수 있다.

 

DNA바코딩은 빠르고 정확하고 그리고 다양한 범위의 종과 원(raw) 재료의 품질로부터 자동화된 종의 동정이 가능하다.따라서 약초를 분류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유망한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species) 동정을 위한 ITS2의 능력이 많은 추가 사례연구를 통해 이루어졌다.예를들어 장미(rosaceae)종에서는 ITS278%의 정확도를 보인 바 있다.그러나 이러한 성공적인 사용에도 불구하고 식물사이에서 일반적인 적응성은 의문이다.왜냐하면 단일 개체내에있는 ITS2의 여러개의 카피(copies)때문이며 진화과정에서 항상 동질화(homogenized)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저자
Shilin Chen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32()
잡지명
Biotechnology Advan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237~1244
분석자
김*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