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햅틱 피드백 제어를 구비한 힘 제어 로봇 수술 시스템

전문가 제언

이 발명은 시스템 또는 장치에 적용되는 힘을 측정하기 위해 힘 센서나 토크 센서를 사용하는 로봇 수술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환자 체강 내에 설치된 로봇 의료장비에 가해지는 힘을 탐지하거나 측정하기 위해 외부 컨트롤러 사용자에게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로봇 수술 시스템으로 미네브래스카 대학교의 이사회가 제안한 특허출원이다.

본 특허출원의 대표적인 청구사항은 원하는 로봇 수술 기구로, ① 절개를 통하여 환자 체강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보디, 보디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견관절 및 팔 그리고 팔에 가해진 힘의 양을 측정하고 팔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힘 센서, ② 보디와 견관절 사이에 위치한 힘 센서, ③ 팔꿉 관절(elbow joint)에서 위팔(upper arm)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상부 팔(forearm), ④ 데이터 출력은, 센서→ 조정 유닛 → 신호변환 유닛 → 전송유닛 → 컴퓨터로 이어지는 통신 라인 연결 등으로 구성된다.

로봇 강국으로 가기위해 개발초기의 국내외 지적 재산권의 저촉 여부가 매우 중요하다. 그 일례로 90년대 이솝, 헤르메스 그리고 제우스 등을 개발 제조했던 미국 컴퓨터 모션社는 한 개의 특허가 저촉되어 지속적인 특허 소송으로 인한 비용 증가와 그에 따른 영업 손실로 경영 위기를 맞아 결국 상장 폐지되는 운명을 맞이하였다. 이 특허전쟁에서 이긴 회사는 바로 ‘다빈치’ 로봇으로 유명한 인튜이티브 서지컬(IS)사다.

세계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대표적인 의료로봇을 살펴보면 수술로봇, 재활로봇, 마이크로로봇, 원격진료로봇 등이 있다. 최소 절개와 출혈, 수술 후 통증 및 감염위험 감소 등이 강점으로 꼽히는 원격수술로봇에 대한 연구도 한참 진행 중이다. 국내 한국로봇융합연구원은 특허정보 진흥센터와 로봇융합기술 분야의 특허정보 공유 및 특허권리 확보를 통해 국가 로봇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이 협약을 통해 로봇관련 원천/핵심/표준 특허기술 발굴에 공동 노력하고, 국내 로봇특허기술의 권리강화에 협력한 점은 늦게나마, 미국 컴퓨터 모션社의 운명을 타산지석으로 삼을 중요한 교훈으로 사려 된다.  

저자
Board of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Nebeaska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4
권(호)
WO20140152418
잡지명
제어 수술시스템을 위한 방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32
분석자
마*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