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연성내시경 조작용 로봇 매니퓰레이터 시스템

전문가 제언

  ○ 본 발명은 연성내시경(flexible endoscopes) 조작에 사용되는 로봇 매니퓰레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소 침습수술을 위해, 요관을 통해 환자의 신장까지 연결되는 삽입 관(tube)과 연성내시경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매니퓰레이터 시스템은 신장결석 수술시간을 단축하고 정밀도와 민감성을 겸비한 수술로 수술 부작용을 최소로 하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본 특허출원의 대표적인 청구사항은 원하는 환자 신체 내에 삽입되는 관을 조작하는 로봇 매니퓰레이터 시스템으로, ① 오퍼레이터 입력을 수신하는 제어장치, ② 제어장치와 통신하는 로봇 매니퓰레이터, ③ 삽입 된 관의 중심축에 회전하는 회전 메커니즘, ④ 컨트롤러와 통신하는 수평 이동장치, ⑤ 내시경의 끝 부분을 제어하는 편향 액츄에이터 등이다.

지난 20년간 최소 침습수술(MIS)은 기술적으로 비약적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일부 유럽 국가에서는 최소 침습수술을 건강 보험 지불항목에 포함함으로써, 최소침습술의 보급을 간접적으로 촉진하고 있어 향후 최소침습술의 응용 비중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최소 침습수술에 대한 특허 동향을 보면, 특허 신청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시기는 2005-2008년이며, 이중 2008년에는 특허 신청수가 85건에 달하고 있다. 주요 신청 업체에는 Boston Scientific, Covidien, Ethicon Endo-surgery(EES), Medtronic, 올림푸스 등이 있다.

KAIST 연구팀이 2018년 1,000억 달러로 예상되는 전 세계 수술로봇 시장 공략을 목표로 현존 최강 수술로봇으로 꼽히는 미국 ‘다빈치(da Vinci)’를 위협할 국산 수술로봇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로봇공학과 MEMS 기술의 발달로 국내에도 의료용 로봇의 개발과 도입이 확산되고 있으며 로봇이 지닌 특유의 정밀성과 정교함, 안정성을 바탕으로 수술, 재활, 진단, 치료 등의 분야에서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의료 로봇 시장은 환자의 생명을 다루는 특성 때문에 진출하기가 그리 쉽지 않다고 본다.

저자
KABACI, Ahmet, Sinan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4
권(호)
WO20140133476
잡지명
의료기기용 로봇 제어 시스템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27
분석자
마*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