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초제 저항성작물에서 제초제 사용 현황
- 전문가 제언
-
○ 미국과 남미에서는 glyphosate 저항성작물에서 단지 glyphosate 제초제만 사용하여 작물수량을 증가시키고 많은 재배농민에게 이익을 주었다. 그러나 광범한 면적에 glyphosate를 아주 높은 농도로 처리함에 따라 glyphosate 저항성잡초의 발현이 널리 확산되었다. 현재 24 초종에서 glyphosate 저항성이 발현되었다. ○ 농민은 glyphosate 저항성작물에서 다행이 glyphosate 저항성작물 도입이전에 사용하였던 제초제를 사용하여 glyphosate 저항성잡초를 효과적으로 방제하고 있다. 새로운 제초제 생산품은 기존 활성물질과 알려진 작용기작 제초제와 혼합한 합제와 새로운 제형 혹은 새로운 활성물질과 제초효능, 제초스펙트럼, 작물 안전성, 사용량 감소 혹은 토양 잔효력을 개량한 약간의 화학적 변형 제품이 최근에 개발되었으며, aminocyclopyrachlor, halauxifen, pinoxaden, saflufenacil, bicyclopyrone, tembotrione, pyrasulfotole, trifamone, indazifflam, pyroxasulfone, fenoxasulfone 등이 있다. ○ 제초제저항성이 발현된 잡초는 제초제 다중저항성이 발현되는 경향이 있다. 제초제 다중저항성잡초는 현재의 작물생산 방법의 지속성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농민은 제초제 다중저항성잡초를 방제하기 위하여 필사적으로 새로운 기술과 종합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 ○ 생물제초제와 합성 제초제를 함께 사용하는 방법은 저항성잡초 관리방법으로 매우 효과적일 것이다. RNA방해(RNA interference, RNAi)를 통하여 glyphosate 저항성잡초를 다시 glyphosate 감수성으로 조작한 기술이 ALS, HPPD, PPO 저해형 제초제 저항성잡초에서 입증되었다. ○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GM작물을 재배할 수 없고, 단지 사료 및 가공용으로 외국에서 GM종자를 도입하고 있기 때문에 GM작물에서 저항성잡초의 발현 문제는 없다. 그러나 GM작물의 개발은 농촌진흥청, 대학, 연구소 등에서 여러 작물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환경위해성 평가도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GM작물의 재배에서 잡초방제 및 저항성잡초에 대한 기초연구가 적극적으로 시도될 필요성이 있다.
- 저자
- Jerry M. Gree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70()
- 잡지명
- Pest Management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351~1357
- 분석자
- 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