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황기의 식물학적 특성, 식물화학 및 약리효능

전문가 제언

재배되고 있는 황기는 뿌리 모양이 크게 다르며, 4종류가 있다. Shanxi, 내몽고에서 야생과 재배 황기는 전형적인 몽둥이 모양이고, 흑룡강 지역에서 야생 황기는 대부분 직근형이다. 황기뿌리(Astragali radix, AR)는 허약, 상처, 빈혈, 열, 다중알레르기, 만성피로, 식욕 감퇴, 자궁 출혈, 자궁 탈출 치료에 사용되었다. 임상적으로 황기뿌리는 만성적인 담 질환과 위궤양, 설사를 포함하는 일반적 위장 장애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황기는 중국 전통의학에서 다양한 신장질환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며, 주요성분은 황기뿌리 수용성 추출물을 주사제로 여러 질병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황기뿌리 추출물 주사는 제2형 당뇨병 신장증 치료에 유용하다. 황기뿌리에서 100종 이상의 화합물이 분리되고 동정되었다. 황기뿌리에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다당류, 아미노산과 기타 화합물이 많으며, 일부 화합물은 많은 생물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Astragalus는 sandium, chromium, 코발트, 구리, selenium, 몰리브덴, sesium, 철, 망간, 아연, rubidium과 같은 미량원소 20종을 함유하고 있다. 황기뿌리에 대한 식물화학 및 약리학적 연구에 의하여 많은 추출물과 활성화합물이 분리되었으며, 특히 항염증, 항바이러스, 항산화, 면역력증진 활성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부실한 품질관리와 황기뿌리의 개발은 아직 미흡한 실정으로 남아있다. 따라서 재배되는 4종류 형태의 황기에 대한 연구와 다른 식품 및 약물과의 일어날 수 있는 상승효과와 금기를 포함하는 다양한 황기의 작용메커니즘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황기는 제천, 정선, 영월, 봉화 등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한약과 식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황기는 전통적으로 피로, 식욕감퇴, 자연발한, 호흡곤란 등의 증세를 치료하고 쇠약해진 기운을 회복시키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황기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안전성을 인정하여 식품원료로 분류하고 있으며, 골관절염 억제 등을 포함한 다양한 약리효능 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기능성 식품과 각종 신약으로 개발될 수 있도록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저자
Fu, J., Wang, Z., Huang, L., Zheng, S.,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28()
잡지명
Phytotherapy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275~1283
분석자
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