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침습수술(MIS)이 용이한 하이브리드 제어 수술 로봇 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본 발명은 로봇을 이용한 수술에 관련된 것으로 워싱턴 소재 국립아동병원(Children's National Medical Center)이 특허출원 한 것이다. 현재의 로봇 시스템은 일부분야에서 의사의 최소 침습수술(MIS)을 가능하게 해주지만 일반 외과분야에서는 로봇을 이용한 MIS 이용이 용이하도록 유연하고 모듈형의 지능형 로봇 기능이 필요하게 된다.
? 이를 위해, 외과의사의 팔/손의 외골격 확장으로 지능형 로봇을 통합함으로써 기존의 로봇수술 시스템의 인체 공학적 문제를 해결하고 필요시 마스터-슬레이브 제어로 신속하게 전환시켜 최적화된 자동화 로봇 수술로 수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이 발명의 대표적인 청구사항은 로봇을 이용한 수술에 관한 것으로, ① 한 개 이상의 로봇 팔과, 로봇 팔의 작동조건을 감지하는 센서, 입력 또는 작동조건을 처리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된 수술 로봇 시스템, ② 수술 로봇 시스템의 요소는 수동 수술기구, 로봇 수술기구, 전기소작기 및 작업 공간 표시 중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며, ③ 하나의 로봇 팔에 결합된 힘 센서 또는 위치 인코더, ④ 작업 모드는 전자동 모드와 부분적인 자동 모드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 특히 복강경 수술에서의 매우 심각한 문제점인 2차원적인 수술시야 확보 문제로 인해 수술부위의 해부학적인 위치를 잘못이해하게 되어 수술의 병발증을 높일 수 있다.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3차원의 양안렌즈를 사용함으로써 극복할 수 있는 큰 장점을 들 수 있다.
○ 마이크로 의료로봇 세계시장 규모는 2015년 28조원, 국내시장은 3350억 원(세계시장의 1.25%)으로 예측되고 있다. WIPS(2014년 2월 기준)에서 분석한 의료서비스로봇의 특허 동향분석에 따르면, 미국이 411건, 한국이 215건, 일본이 203건, 유럽이 139건을 출원해 미국이 최다 출원국임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은 2000년 초부터 중반까지는 미미하였으나, 2006년부터 출원 건수가 급격히 증가하여 2009년까지 활발히 출원한 것을 알 수 있다. 업계에서는 LG전자, 큐렉스를 포함하여 카이스트, 한양대, 건국대 등 학계의 출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 저자
- CHILDERN'S NATIONAL MEDICAL CENTER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4
- 권(호)
- WO20140121262
- 잡지명
- 하이브리드 제어 로봇 지원 수술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43
- 분석자
- 마*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