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 알레르기원 분석
- 전문가 제언
-
○ 식품 알레르기는 식품단백질에 대한 신체의 면역반응이다. 이는 식품과민
성, 약물반응 및 독소-매개된 반응등과 구별된다. 식품의 단백질이 가장 흔한 알레르기 성분이며, 알레르기는 신체의 면역시스템이 단백질을 유해한 것으로 잘못 인식하기 때문이다. 어떤 단백질, 혹은 이의 절편은 신체 내에서 소화에 내성이 있어 면역글로뷰린 E에 표착되어 침입자로 규정된다. 거의 모든 식품이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지만, 땅콩, 견과류, 우유, 달걀, 밀, 대두, 물고기, 갑각류 해물 등이 알레르기반응을 일으키는 전체의 90%에 해당한다.
○ 이들 반응은 경증에서 중증에 이르기 까지 다양하다. 알레르기반응에서 피부염증, 위장장애 및 호흡곤란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과민성반응인 이상성 과민증 및 혈관확장증 등이 있다. 이들은 즉각적인 긴급 의료중재가 필요하다. 단백질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은 가급적 문제 단백질을 피하는 것이 좋다. 몇몇 약제들로 단백질 알레르기반응을 예방하거나, 최소화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면역요법을 이용하거나, 알레르기원을 어떤 형태로든 멀리하여야한다.
○ 식품의 알레르기원을 탐지하는 방법은 첫째, 면역화학 방법 (ELISA)이 있는데, 이는 식품의 알레르기원 단백질 혹은 타 단백질을 항체에 근거하여 검색한다. 정량 및 정성분석이 가능하며 식품성분, 제품, 세척액, swab (면봉) 및 환경샘플들을 다룬다. 둘째, DNA에 근거한 PCR 방법으로 알레르기 종들의 DNA 서열을 탐색하기 위하여 DNA polymerase가 DNA 분획을 증폭한다. 셋째로 질량분석 (Mass spectrometry)이 있다. 단백질 및 펩티드 성분, 구조 및 서열형성을 분석할 수 있다.
○ 국내 알레르기 연구로, 강창율 교수(서울대 약학대)는 알레르기 발생의 원인이 되는 Th2 기억 세포(Th2 memory cell)를 알레르기 억제 기능이 있는 조절 T 세포(regulatory T cell)로 전환하는 신기술 개발에 성공하였다. 한편, 국내 알레르기 환자 수는 6백만 명 이상이며 성인의 10% 및 어린이의 20%가 이에 해당한다. 대표적 알레르기 질환으로 알레르기성 비염, 결막염, 천식, 및 식품 알레르기가 있다.
- 저자
- Phil E. Johnso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4
- 권(호)
- 148()
- 잡지명
- Food 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0~36
- 분석자
- 이*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