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귀는 유럽 여성에게도 효험이 있을까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당귀(當歸)는 한의학 및 한국고유의 대표적인 한약재 약용 식물로서 마땅히 돌아오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당귀를 먹으면 다시 기운이 회복되어 돌아올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라고 하고 일설에는 이 약을 먹으면 기혈이 다시 제자리로 돌아온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송나라 진승(陳承)은 당귀는 기혈을 각각 돌아가야 할 곳으로 보내는 효과가 있으나 당귀의 명칭이 반드시 이 때문에 나온 것은 아닌 것 같다고 하였다.
○ 한국에서는 참 당귀(Angelica gigas Nakai) 중국에서는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 (Oliv.) Diels) 일본에서는 일 당귀(Angelica acutiloba (Sieb. & Zuc.) Kitagawa)의 뿌리를 사용하고 있으나 약효는 비슷하며 중국당귀와 일본당귀의 뿌리는 보혈작용이 뛰어나고 참당귀의 뿌리는 피를 원활히 순환하게 해주는 작용이 뛰어나다.
○ 허신(許愼)은 설문해자에서는 산에서 자라는 것을 승검초(?,벽)이라 하는데 일명 산기(山?)라고 하고 이것이 곧 당귀이니 미나리(芹,근)종류에 속한다고 하였다. 평지에서 자라는 것을 미나리라 하고 산에서 자라나며 크고 거친 것을 당귀라 한다고 하여 예전에는 산에서 채취했으나 구종석(寇宗奭)이 굵고 기름기가 많은 것이 품질이 좋으니 평지나 산속에서 자라는 것과 차이가 없다고 하여 최근에는 재배를 많이 하고 있다.
○ 너무 비옥하지 않고 물이 잘 빠지고 자갈이 많지 않은 토심이 깊은 밭을 선택하여 초기에 퇴비를 많이 주지 않는 것이 좋다. 발아율이 좋지 않으므로 모종을 심는 것이 좋으며 잎에서 강한 향기를 내므로 해충이 접근하는 일이 없어 키우기에 좋으나 초기 성장이 느려 잡초방제가 관건이다.
○ 이 논문은 ScienceDirect, PubMed, Scopus와 같은 과학 잡지, 교과서, 전자 소스에서 이용할 수 있는 문헌뿐만 아니라 다른 웹 사이트의 평가를 기초로 하여 전통 중국의 한방치료에 사용하는 중국당귀 뿌리의 하나의 문화에서 다른 문화로 이항 될 수 있는 용이성을 검토하고 변형으로 손실가능성이 있는 처리방법을 소개하고 있어 약초 재배 또는 관련연구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저자
- Ingrid L.I. Hook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152()
- 잡지명
-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13
- 분석자
- 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