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조작 생백신의 효능과 균형
- 전문가 제언
-
○ 생물학전 및 생물 테러에 대비하기 위한 의학적 대응 수단 중 예방 조치는 질병 감시 네트워크 구축과 더불어 가장 적극적이며 능동적인 방어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생물학작용제에 노출 전에 유효 항생제를 사전 복용하는 예방 방안이 있을 수 있으나 가용하다면 예방 백신의 접종이 가장 효율적인 보호 대책이 될 것이다.
○ 백신은 초기의 불활성화 백신, 약독화 생백신으로부터 소단위 백신, 재조합 벡터 백신, 접합 백신, DNA 백신으로 발전하고 있다, 생백신은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항원 자체로서 또는 유전자를 전달하는 벡터로 이용되며 세균, 리케치아, 바이러스를 대상으로 한다. 세균 생백신으로는 BCG 백신, 장티푸스 백신이 대표적이며 세균 벡터로서는 Salmonella, Bacillus, Listeria, Lactobacillus 속 균주들이 흔히 연구되고 있다.
○ 미국은 생화학전에 대비하여 백신 개발 관련 기반기술 구축과 더불어 후보 백신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탄저병, 페스트, 유비저, 야토병, 브루셀라증 등을 일으키는 세균에 대비한 백신 개발을 위하여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응용한 다가 백신, replicon 플랫폼, 전달 체계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소단위 백신인 탄저병 백신이 현재 운용 중에 있다.
○ 국내의 백신 개발 관련 기술은 선진국에 근접한 수준으로 국내 자급이 가능한 백신은 B형 간염 등 아직 6종에 불과하나 정부의 적극적 지원, 관련 인프라의 구축, 업체의 관심 등으로 크게 확대될 전망이다. 그러나 중요 생물학작용제에 대한 국내의 백신 개발 연구는 탄저병 정도이며 경제성 면에서 업계의 관심도 낮은 실정이다. 따라서 위협 우선순위가 높은 생물학작용제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 새로운 형태의 감염성 질병들이 출몰하고 있는 현 실정에서 백신의 중요성은 갈수록 증가할 것이다. 본 총설에서는 유전자 조작 생백신의 궁극적 성공은 약독화와 면역원성 사이에 완전한 균형의 성취에 좌우됨을 강조하고 있다. 다가 백신 플랫폼을 제조하기 위한 약독화된 운반체 백신의 조작 기술은 원래 살모넬라 백신을 위해 개발되었지만 생물학전 위협에 대비한 백신 개발에도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 저자
- James E. Galen, Roy Curtiss 3rd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32()
- 잡지명
- Vacc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4376~4385
- 분석자
- 차*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