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산업에서 위기 대응을 위한 사내생산 전환
- 전문가 제언
-
○ 최근 자동차 산업은 재인소싱에 집중 검토하고 있다. 본 논문은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재인소싱에 관해서 근본적 동기와 제조전략에 대한 의사결정을 조사하고 있다. 아웃소싱에 대해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재인소싱에 대한 것은 넓게 연구되지 않았다. 재인소싱의 전환은 비용절감 제조기술 누출 방지 및 필수 제조 기술인원의 확보에 있다.
○ 아웃소싱에서는 자동차 제조사가 외주업체에 대해 제조기술을 지도하 면서 제조에 대한 노하우 전수 내지 새로운 제조기술 습득으로 제품개량과 비용절감에 매진하고 있다. 경제 위기에 실행된 재인소싱의 증가량 때문에 후자는 현상의 깊은 이해를 얻는 데 아주 적합하다.
○ 자동차 메이커와 자동차 판매사의 6개 사례에 대해 심층 인터뷰를 통해서 제공된 자료로 재인소싱을 심층 분석했다. 모든 사례연구는 위기가 제조전략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하고 있다. 사용되지 않은 능력은 재인소싱을 위한 지배적인 동기로 나타나고 있다. 자동차 메이커와 자동차 판매사 사이의 차이는 동기와 의사결정에서 명백하다.
○ 세계 자동차산업 지각변동은 금융위기, 자동차산업 미래혁명(기술, 제품구조, 부품조달구조, 생산방식, 유통방식), 중국·인도 자동차산업의 도전으로 미래 예측이 쉽지 않다. 미래 자동차기술이 자동차산업 지각변동 이후 승부처로 예상된다. 미국, EU, 일본 등 각국 정부는 지각변동에서 살아남고 새로운 경쟁을 위해서 자금지원에 정성을 쏟고 있다.
○ 한국 자동차산업은 1990년대 말 미국시장에서의 품질위기를 도전과 열정으로 잘 극복, 발전하면서 위기에 강한 역량을 축적해왔다. 세계 자동차산업 지각변동 위기 속에서도 우리가 쌓은 유형, 무형의 역량을 잘 응집한다면 또 다른 발전의 원동력이 될 것이다. 국내 자동차 업체도 기업의 수익 모델 구축 관점에서 아웃소싱과 재인소싱에 대해 끊임없이 검토하고 제조환경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저자
- Ralf Drauz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4
- 권(호)
- 67()
- 잡지명
-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346~353
- 분석자
- 송*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