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컴퓨터 기반의 지능형 자동차

전문가 제언

 

○    동차 운행대수가 증가함에 따라 수많은 인명살상과 재산 손실의 예방 측면에서 교통안전은 중요한 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지능형 자동차가 등장하게 되면서 운전자로 인한 실수, 졸음 운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어 인명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고, 에너지 절감, 노약자 및 장애인의 이동성 제고 등 많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편의성 및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어 지능형 차량에 대한 수요는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2020년경 지능형 자동차의 세계시장 규모는 83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지능형 자동차는 기술적인 측면이나 상품 측면에서 매우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있어 미래 자동차 산업의 고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핵심적인기술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지능형자동차는 현재 일정 정도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제품 기술부문에서 선진국에 비해 뒤지고 있다. 그러나 발달된 IT 기반을 갖고 있으며, 2015년까지 지능형교통시스템(ITS)이 구축 확산되면 지능형자동차시스템의 생산이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앞으로 지능형 자동차가 자동차 산업의 지형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는데, 수출(세계 3)과 생산(세계 5) 부문에서 글로벌 수준으로 올라선 국내 자동차 업계도 자동차의 지능화 기술을 연구 개발할 때 본 리뷰에서 논의되고 제안된 바와 같은 다양한 첨단 지능을 자동차에 융합하여 선진국에 뒤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지능형 자동차 기술의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는데 국내 업체들도 IT나 전력전자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독자적인 기술력 확보에 노력할 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협력 사업에 적극 참여하여 지능형 자동차의 표준화 및 상용화에 주도적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차원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지원을 기반으로 업체 간 협력 강화가 되어야 한다. 개발비용이 많이 들고, 개발에 따르는 위험도 높아 독자적인 개발보다 국내 학계, 연구계, 여타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연구역량을 결집할 필요가 있다.

저자
D. Martin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4
권(호)
41()
잡지명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7927~7944
분석자
김*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