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간 통신에 의한 차량 추적 및 감시
- 전문가 제언
-
○ 요즘 잇따른 강력 범죄로 국민 불안이 커지면서 치안이 최대 관심사가 되고 있다. 각종 강력 범죄에 차량이 이용되고 용의 차량이 도로를 이용한 도피하는 것이 일반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범죄 차량을 도로상에서 추적 감시하는 시스템이 구축되면 차량을 이용한 범죄 검거율이 높아 질 것이고 차량을 이용한 범죄 발생율도 크게 줄어 범죄예방효과가 클 것이며 안전 사회를 이룩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현재 우리나라에선 경기도 안양시가 범죄 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용화하고 있다. 2009년 첨단 IT기술을 활용한 교통정보시스템 및 방범시스템이 연계된 U-통합상황실을 개소하였으며 여기서 범죄발생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용의자는 물론 용의차량의 위치를 추적하는 범죄감시 추적 시스템을 국내는 물론 세계 최초로 개발 구축하여 선보이고 있다. 이 시스템은 2000 여대의 CCTV카메라와 차량번호인식시스템 DB를 연계하여 범죄 용의차량을 감시 추적한다.
○ 본 연구는 인프라가 없는 환경에서 도로를 운행하고 있는 차량 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용의 차량을 추적 감시하고 경찰에 보고하여 용의 차량을 검거한다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있다. 또 그러한 시스템의 성능이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여 우수하다는 사실을 성능평가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CCTV가 도로 곳곳에 설치되어 있으며 무선 인터넷망 등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어 이러한 인프라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과 연계하면 보다 더 훌륭한 범죄 용의차량 추적 감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 우리나라는 정부 주도로 지난 2001년‘지능형교통체계 기본계획 21’을 확정하였고, 2011년 12 월에는 지능형교통체계 기본계획 2020을 수립하였다. 이러한 계획에 안양시가 개발 한 것과 같은 범죄 차량 감시 추적 시스템을 추가하여 전국 규모로 운영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프로젝트에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바와 같은 일반 시민 차량도 추적에 협력하여 용의 차량을 추적 감시하는 시스템이 함께 고려된다면 한층 더 좋은 성과를 올릴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저자
- Lien-Wu Chen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4
- 권(호)
- 67()
- 잡지명
- Computer Network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54~163
- 분석자
- 김*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