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안전한 원자력 이용을 위한 인간 신뢰도 분석기술의 발전방향

전문가 제언

국내 원자력발전에 관련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및 환경 분야의 신뢰도는 꾸준한 향상을 보이고 있는 반면에 인간 측면에서 운전원의 인적 행위를 통해 운영 유지되는 원자력발전소의 안전과 신뢰성을 뒷받침하기 위한 인적오류의 감소와 예방기술의 발전은 여전히 답보상태에 있다. 지금까지 원자력 관련 시설에서는 인간의 오류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사고나 사건들이 발생해왔는데 이들을 분석하여 예측 및 방지하는 작업은 국내의 원자력 이용도를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선행과정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의 위험성 평가에는 인간 신뢰도 분석(HRA, Human Reliability Analysis)을 포함한 초기단계의 정성적 평가와 위험요소 발생확률을 확률론적으로 산출하는 정량적 평가가 있다. 후자에 의해 대상물의 위험도가 예측되면 위험요소를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는 안전성 및 경제성 관련 정책이 결정된다.

 

특히, 현재의 HRA에서 요구되는 인적 인자들은 아직도 미흡하기 때문에 인간의 인식과정과 그룹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을 모델링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인적 실수비율 예측기술(THERP, Technique for Human Error Rate Prediction), 인지도 신뢰성과 오류 분석법(CREAM, Cognitive Reliability and Error Analysis Method) 및 인적 사고 분석기술(ATHEANA, A Technique for Human Event Analysis) 등의 정량적 기술들이 제안되어 왔다.

 

그중 중요한 두 모델은 시스템이론에 근거하는 시스템 이론적 사고 모델과 방법(STAMP, Systems-Theoretic Accident Model and Process) 및 사회 기술적 시스템의 비선형성 모델링을 위한 함수적 공명 분석법(FRAM: Functional Resonance Analysis Method)이 제시되고 있다.

 

이들 모델은 원자로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확률론적 안전성 분석과 유사한 위험도 분석에는 아직까지 사용되지 않고 있지만 원자력의 이용 증대를 위해서는 원자로의 안전성 분석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저자
M.A.B. Alvarenga, P.F. Frutuoso e Melo, R.A. Fonsec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75()
잡지명
Progress in Nuclear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5~41
분석자
성*웅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