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기와 낙농제품에서Salmonella enterica,Escherichia coli O157:H7 and Shigella spp의 분리 및 동정

전문가 제언

식품매개 질병의 위험은 지난 20여 년간 현저히 증가하여 현재에는 전체인구의 1/4가 질병위험에 처해 있다. 따라서 식품매개 병균관련 질병 및 사망은 주 공중위생 과제이다. 더구나 현세대에는 세계 무역이 활발하여, 나라간의 식품들의 수출입이 증가함에 따라 지역적으로 전혀 경험하지 못하던 식품매개 병균들이 도입되고 자리를 잡고 있다. 문제가 되는 병균들은 Salmonella enterica, Escherichida coli 0157:H7 및 Shigella spp. 들이 다.

 

식중독은 병원성 미생물로 오염된 식수나 식품을 먹으로 발생한다. 식중독은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독성물질로 인해, 그리고 다른 하나는 감염물질에 의하여 일어난다. 취급, 저장, 혹은 적절히 요리하지 안한 식품들은 날고기, 닭고기, 달걀, 갑각류, 살균되지 않은 우유, 또한 요리된 고기 절편, 치스, 및 포장 샌드위치 같은 곧 먹을 수 있는 식품들이 위험할 수 있다.

이들 병균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Salmonella enterica, Shigella spp., enteroinvasive Escherichia coli, and enterohemorrhagic E. coli의 병균원 인자들을 혼합 primer와 증식하고, 빠른 PCR을 통하면 30분 내에 증식이 가능하다. PCR amplicon은 dipstick DNA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으로 5-10분에 구별할 수 있다. 4-6시간 농축 배양으로 이 분석은 45분에 끝낼 수 있으며 혼합 갈은 고기실험에서 현재 탐지 민감도는 S. enterica 2.5 CFU/25 g, 장출혈 E. coli는 3.3 CFU/25 g 이하이다.

 

현재 국내 식품가공업체는 <식품위생법>·<축산물가공처리법>에 의거하여 허가를 받고 있다. 식약청의 2013년 식중독 통계에 의하면 총 235건에 4,958명 환자가 발생하였고, 시설별로 가정집 5건 22명, 기업체 14건 608명, 기타 2건 502명, 불명 14건 282명, 음식점 134건 1,297명, 학교(위탁) 2건 86명, 학교(직영) 42건 2,161명이었다. 살모넬라 황색포도상구균 장염비브리오균 바실러스세레우스 클로스트리디움퍼프리젠스 클로스트리디움보톨리눔 캠필로박터제주니 병원성대장균 기타 노로바이러스 등이 주원인 병균이었다.

저자
Ashraf M. Ahmed , Tadashi Shimamot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168()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57~62
분석자
이*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