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면활성제 지원 초음파 분무 열분해 공정으로 향상된 채색 대비와 텅스텐 산화 막의 전기 변색 효율
- 전문가 제언
-
○ 텅스텐 산화 박막의 우수한 전기 변색 효율의 우수성이 알려져 있는데도 불구하고 문헌에 보고된 대부분의 증착법은 고품질과 저렴한 비용의 생산에 적합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 텅스텐 산화 박막은 계면활성제 지원 USP에 의하여 FTO-유리 기판에 증착되었다. 계면활성제와 결합된 그 증착법은 과도한 생산비가 없이 텅스텐 산화 막의 전기 변색 성능을 향상시켰다. 계면활성제 지원 USP로 제작된 텅스텐 산화 막은 고비표면적을 보여주었고 83%의 높은 채색 대비를 얻었다. 또한 WO3 박막은 우수한 가역성(94%)과 착색 효율(28 cm2/C)을 나타냈다.
○ 전기 변색은 1969년에 최초로 보고된 WO3 시스템이 가장 보편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전기 변색의 개발에 대한 연구는 외국이 국내보다 더 활발하다. 국내에서 그동안 발표된 전기 변색에 관한 논문으로는 "전기 중합법과 증기 중합법에 의하여 제조된 PEDOT{Poly(3,4-ethylenedioxy- thiophenene)} 박막의 전기 변색 특성", "Biphenyl dicarboxylic acid diethyl ester(DEB) 기반의 전기 변색 셔터 디스플레이", "전도성 고분자 패턴을 이용한 전기 변색 회절 편광자", "화학 증착법으로 제조된 텅스텐 산화 막의 전기 변색 소자의 응용", "나노 산화 텅스텐의 형태와 상이 전기 변색에 미치는 영향" 등이 있다. 또한 "전기 변색 투명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특허(WO 2010/053299 A2)가 출원되었다. 최근에 자유자재로 휘어지는 저전력 소비형 전기 변색 디스플레이가 개발되었다.
○ 전기 변색 물질을 사용하여 개발된 전자종이의 실용화가 여러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고층 빌딩과 고급 자동차에서 투과율 가변 유리를 채택하여 응용 범위를 넓혀 가고 있다. 또한 청정에너지에 대한 환경 친화적 에너지 기술의 개발에 본 논문의 계면활성제 지원 USP 공정이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려 된다.
○ 추후 연구는 교환 역학과 내구성의 향상을 위하여 계면활성제 지원 USP 막의 형태(예 : 증가된 다공성과 열린 구조)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 저자
- J. Denayer, P. Aubry, G. Bister, G. Spronck, P. Colson, B. Vertruyen, V. Lardot, F. Cambier, C. Henrist, R. Cloots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130()
- 잡지명
- Solar Energy Materials and Solar Cell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623~628
- 분석자
- 현*옥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