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연소 후 CO2 포집용 분리 막 및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장점

전문가 제언

 

       O 2050년 기준하여 전체 CO감축량의 약 22%CCS(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이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CCS 기술의 가장 핵심적인 CO포집기술은 연소 전 포집기술, 연소 후 포집기술, 순 산소 연소기술로 구분된다.

 

         O 연소 후 배기 가스에 포함된 CO를 포집하는 연소 후 포집 기술은 기존 발생원에 적용하기 가장 쉬운 기술로 흡수·흡착제, 분리 막 등을 이용하여 CO를 분리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분리 막 공정의 효능 및 분리 막 투과 공정과 전형적인 아민 흡수식 공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연소 후 CO포집을 위한 가능성 등을 조사했다.

 

         O 우리나라는 세계 9위의 온실가스 배출국으로 전력산업분야는 총 배출량의 26%를 차지하고 이중 석탄화력 발전분야는 전체 전력분야 배출량 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외적으로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CO를 포집하기 위한 기술개발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O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중 함유된 CO를 포집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 중 상용화에 가장 근접한 기술은 신뢰성과 경제성이 높은 아민 화합물 흡수제를 기반으로 하는 습식 CO포집 공정이다. 이 공정은 CO가 포함된 배기가스를 흡수제와 적절한 온도 압력에서 접촉시켜 CO를 선택적으로 포집하는 기술로 현재 국내외적으로 대규모로 진행되고 있는 기술이다.

 

         O 분리 막 시스템은 연소 후 CO포집에 있어 가장 낮은 에너지 비용을 제공하고, 많은 종류의 CO선택형 분리 막이 개발되면서 더욱 확산 될 것이다. 분리 막과 아민 흡수식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에너지 수요 면에서 종래의 MEA 흡수식 공정보다 적다.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더 많은 양의 CO가 분리 막에 의해 제거됨으로써 총 에너지 비용이 감소하게 되어 매우 유망한 기술로 평가된다.

저자
Prodip K. Kundu, Amit Chakma, Xianshe Feng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4
권(호)
28()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Greenhouse Gas Control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248~256
분석자
김*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