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 적층 가공공정 적용을 위한 새로운 설계방법론
- 전문가 제언
-
○ 본 해설 논문에서는 디자인 요건과 가공 특성을 고려하여 적층가공기술을 위한 새로운 디자인이 제시되었다. 특히 레이저 적층 가공에 의해 만들어진 얇은 두께 구조의 금속제 부품에서 수치제어 소프트웨어가 기술되었다.
○ 기능적 요소와 가공적 요소를 만족시키면서 가공되는 부품의 충분한 기계적 강도와 질량 경량화를 위해 최적의 가공경로를 결정해야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기능면에서는 가공공정 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기하학 형상을 찾아내고 비용절감을 위한 가공성이 우수해야 한다.
○ 작년 초, 미국 오마바 대통령은 국정연설에서 3D 프린터가 제조방식의 혁신을 가져올 것이라고 언급하며 3D 프린터 산업 육성을 계획하고 있다. 또한, 영국의 시사 경제주간지인 The Economist는 3D 프린터가 내연기관과 컴퓨터에 이어 3차 산업 혁명을 이끌 기술 중 하나로 소개하고 있다.
○ 의료분야에서 3D 프린팅 활용측면에서, 인간의 혈관, 피부, 연골, 신장 및 간 등의 세포를 3D 바이오프린터로 만드는 기술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재생의학 발전에 크게 기여하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3D프린팅 시장은 초기단계인 2011년 17억 달러에서 2016년 31억 달러, 2019년 61억 달러, 2021년 108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제조된 제품의 가치를 더할 경우 2019년 133억 달러 규모로 성장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국내에서도 3D프린팅 산업 육성을 위한 움직임이 더욱 가시화되고 있다. 지난 7월 ‘글로벌 제조혁신을 위한 3D프린팅 국제포럼’에서 구미시와 경상북도 그리고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3D프린팅 산업육성을 위한 지역거점센터 설립 및 기업지원을 골자로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지역거점센터는 3D프린팅 적층제조기술연구 허브센터 역할로 경북의 핵심 산업 적층가공 응용분야 연구개발, 최적화 공정 개발과 기술보급, 네트워크 구축 및 활용 시스템 구축, 전문 인력 양성 등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마지 않는다.
- 저자
- RemiPonche, OlivierKerbrat,PascalMognol,Jean-YvesHascoet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4
- 권(호)
- 30()
- 잡지명
- Robotics and Computer-Integrated Manufactur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389~398
- 분석자
- 마*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