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적층가공기술의 발전 동향

전문가 제언

고밀도 열원을 이용하여 3차원적으로 형상을 쌓아 올리는 적층제조는 종래의 육성용접이나 오버레이용접법에 최근의 3D 프린팅 기술이 부가되면서 많은 관심과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3D 프린팅 시장은 주로 폴리머 소재를 이용하고 제품의 크기도 소형 위주로서 대형의 금속 제품을 적층가공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레이저를 이용하는 레이저 적층제조법은 레이저 소결, 레이저 용융, 레이저 금속증착으로 구분된다. 레이저 적층제조법에서는 금속분말의 부분용융과 완전용융에 따라 공정과 재료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완전용융을 시키는 레이저 용융과 레이저 금속증착의 경우는 순금속을 사용할 수 있으며 부분용융을 시키는 레이저 소결의 경우에는 순금속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EBDMLENS 적층제조에서 생산효율의 향상과 정밀도의 확보는 대형구조물의 적층제조법을 활성화하는데 있어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구미 기술선진국의 경우, 지난 3년동안 Lockheed Martin Aeronautics, 펜실베니아주립대학, DARPA, Tank Automotive Research 등은 EBDM 공정의 실행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착수하였다. 우리나라도 부가가치가 높은 EBDMLENS 적층제조기술의 국산화 기술개발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최근 대한용접접합학회 고에너지연구위원회와 경북대학교 레이저응용기술센터/3D융합기술지원센터에서는 메탈 3D 프린팅 및 적층가공(Additive Manufacturing)을 위한 레이저 가공기술학술대회를 통하여 레이저 클래딩 방식이 적용된 쏘우 일체형 절삭공구개발(고등기술원), DED방식의 적층가공을 통한 금형으로의 응용 사례 및 효과(생산기술연구원) 등의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향후 국내 적층제조기술의 고도화와 적용을 위해서는 산업계, 학계, 그리고 관련 정부출연연구소는 산학연 공동연구를 통해 고부가가치 적층제조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저자
Richard Martukanitz and Jay Hollingsworth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93(3)
잡지명
Welding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0~44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