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평상복과 피부제독이 화학작용제 피부침투 억제에 미치는 효과

전문가 제언

농약 살충제를 사용한 인체피부 침투실험 결과를 토대로 면 셔츠와 같은 평상복과 일반 세제를 사용한 간단한 피부제독만으로도 독성 유기인 화합물들의 피부침투를 억제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정량적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천(cloth)의 종류와 밀도, 제독방법, 제독시점, 화학물질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투여농도, 그리고 온도, 습도, 풍속과 같은 시험 환경조건들도 독성 화학물질의 피부침투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시험변수들을 고려하여 앞으로 보완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 산업의학분야에서 유기인 계열 농약의 피부노출로 인한 중독 증상에 관한 연구사례가 있으나 평상복이나 피부제독이 유기인 화합물의 피부침투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앞으로 유기인 화합물 뿐 아니라 다른 맹독성 농약이나 생화학무기에 사용되는 화학작용제 중 피부 침투력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겨자가스(mustard) 등을 사용하여 이러한 연구가 국내에서도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앞으로 국방과학 분야에서는 군에서 착용하는 각종 의류, 장갑, 전투화 등을 인체피부와 조합하여 화학작용제의 피부침투 억제효과와 제독시점에 따른 제독효과에 관한 연구가 긴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연구결과는 화생방 장비의 개발 뿐 아니라 관련 화생방 교범들을 발전시키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유기인 화합물의 제독방법으로 흡착이나 촉매반응이 널리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민수용 피부 제독제의 국내개발을 목표로 저가의 흡착제나 촉매제들을 대상으로 하여 여러 가지 농약에 대한 제독효과와 인체에 적용시 안전성에 관한 연구도 바람직하다.

 

화학작용제와 같은 독성 화학물질들은 다른 물질에 흡수되어 지속적으로 인체에 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물질 종류별로 화학작용제의 흡수에 관한 시험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한 기초연구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저자
C.A. Moore,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229()
잡지명
Toxicology Letter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57~264
분석자
양*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