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에서 성장한 식물유래 lactococci의 분석
- 전문가 제언
-
○ 유산균 락토코커스 락티스 (Lactococcus lactis)는 낙농제품들을 생산하는데 필수적이다. 특히 치스, 발효우유, 및 유산 카제인의 생산에 매우 중요하다. 낙농제품 생산에서 Lactococcus lactis는 L. lactis 변종 lactis와 L. lactis 변종 cremoris로 나눈다. L. lactis 변종 cremoris는 변종 lactis와 약간의 표현형 특성차이로 구별한다. 즉, 40℃에서, 4.0% NaCl 혹은 pH 9.2에서 성장이 부진하고, 알기닌을 가수분해 하지 못한다. 또 glutamate를 γ-aminobutyric 산 (GABA)으로 탈 카르복실 화하지 못한다. 최근 L. lactis 변종 lactis는 낙농제품 생산에 활용하는 외에 프로바오틱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 Lactococcus lactis는 식물 표면과 우유에 기생한다. 이 식물-유래 젖산 박테리아는 우유-유래 종들의 천연 소스로 간주되고 있다. 이 식물-유래 젖산박테리아는 우유-유래 종들에 비하며 추가적인 능력이 있다. 즉, 우유-유래 종들에 비해 스트레스에 대한 더 큰 내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식물-유래 종들은 낙농제품에 개선된 맛을 가져오고, 추가적인 기능을 부여한다.
○ 젖산 박테리아는 식물-생리활성 화합물 생산에 중요한 숙주들이다. 이들은 식품 그레이드이고, 효율적인 발현 및 대사체 공학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딸기로부터의 두 유전자 (Frgaria x ananassa)는 alcohol acyltransferase (SAAT)와 linalool/nerolidol 합성효소를 암호화하며, L. lactis에 복제되어 나이신-유도된 발현시스템을 이용하는데 유용하게 발현된다.
○ 경희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김동현 교수는 학회발표에서 동물실험에서 식물성유산균인 L. plantarum PMO 08의 장내 생존력이 동물 유래 유산균 L. casei 와 비교 시 보다 우수한 장내 생존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식물성유산균의 장에서의 생존력과 정착능력을 동물실험을 통해 동물성 유산균과 비교한 연구 자료로 이 식물성 유산균이 동물성 유산균(L. casei)보다 채식을 많이 해온 한국인에 더욱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 저자
- Debebe Alemayehu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4
- 권(호)
- 172()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57~61
- 분석자
- 이*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