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생체 뇌의 다우영상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인지증(認知症)은 후천적인 뇌의 장해로, 일단 발달한 인지기능이 저하하여,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상태를 말한다. 알츠하이머병은 인지증상 중에서도 가장 잘 알려진 병이고, 발증 원인은 아직 불분명하지만, 뇌 내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변화에 의해 뇌세포의 질이 변화하기 때문에 생긴다.

 

알츠하이머병의 발증 메커니즘은, 아직 해명되지 않았다. 노인반점이 알츠하이머병의 중핵병리인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아미로이드의 형성과 축적이 알츠하이머병발증과정의 중심에 있다는 아미로이드 캐스케이드 가설은 아직 가설의 영역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현재까지, 아미로이드 항체요법을 포함한 항아미로이드의약의 개발은 모두 실패하였다. 아미로이드영상의 유효성이 실증되고, 또 타우영상이 가능해짐으로서, 알츠하이머병의 조기진단은 보다 현실적인 것이 되었다.

 

우(tau)는 미소관(세포내에서 볼 수 있는 직경 25nm의 관상 구조)결합단백질 가족의 하나이고, 주로 중추신경계통의 신경세포에서 많이 발현된다. 타우는 tubulin(진핵생물의 세포내에 있는 단백질)과 결합함으로서 세포골격인 미소관의 안정화를 조절한다. 알츠하이머병을 위시하여 많은 신경변성질환에는, 병리학적 특징으로서, 신경세포와 글리어 세포에 선유화된 타우단백질의 봉입체가 관찰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질환을 총칭하여 tauopathies(타우오파티)라고 한다.

 

한국에서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알츠하이머병의 진단의 일환으로 CT나 MRI 등의 영상을 이용하여 많은 진단결과를 얻고 있고, 타우 영상을 통한 진단의 시도를 하였다. 한국에서 노령인구가 증가하여 알츠하이머병 환자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현실에서 이것은 매우 바람직한 시도라고 하겠다. 앞으로 타우영상을 통한 진단으로 알츠하이머병이 진단되고 치료하여야 하겠다.

 

 

저자
Sahara, 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2014(720)
잡지명
Isotope N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7~13
분석자
문*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