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황산칼슘 나노막대를 이용한 열 형광선량계

전문가 제언

이 논문에서는 황산칼슘(CaSO4)Ag, Cu, Dy Tb로 활성화시킨 나노막대를 공침기술로 합성하였다. 이들을 감마선을 쪼인 다음 열 형광(TL: thermoluminesence) 특성을 연구하였다. 합성된 시료를 주사전자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X선 회절(XRD) 및 광 형광(PL)방사분광으로 특성을 조사하였다. 희토류원소를 첨가한 시료의 SEM영상은 다른 시료보다 나노막대가 가늘었고, XRD 형상은 완전한 단사결정구조를 나타내었다.

 

하나는 125에서 글로우 봉우리(glow peak)를 나타내며, 다른 성분에서는 230~270에서 글로우 봉우리를 나타내었다. 이들 글로우 봉우리는 그들의 TL 강도에 따라 시료별로 구분된다. TL결과는 특히 TbEu를 첨가한 시료에서는 TL 민감도가 270에서 민감한 글로우 봉우리가 나타나며 Eu를 첨가한 시료에서는 활성 고밀도 전자 덫(electron trap)을 형성한다. 후자에서는 전 연구영역 즉, 10Gy-10kGy범위에서 선형응답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EuTb를 첨가한 CaSO4 나노막대가 식품이나 종자의 조사에 사용되는 이온화 방사선의 고-선량 측정선량계에 적합한 후보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나라 한국콘텐츠학회의 선량계에 대한 연구에서는 기존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던 열형광선량계와 광자극발광선량계를 핵의학과 작업종사자 및 작업구역에서 3개월간 누적선량을 비교한 논문이 있다. 그 결과 평균 표층선량은 열형광선량계가 1.27mSv, 광자극발광선량계가 2.12mSv0.85mSv의 차이가 있었으며, 평균 심부선량은 열형광선량계가 1.33mSv, 광자극발광선량계가 2.06mSv0.73mSv의 차이를 보였다. 광자극발광선량계가 표층선량 및 심부선량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5) 높게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량계개발에 관한 연구이외에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과 방사선보건연구원 공동으로 피폭방사선 평가에 관한 학술회가 정기적으로 개최되며, 유엔 방사선영향위원회(UNSCEAR)에도 참여하고 있다.

저자
Numan Salah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106(2015)
잡지명
Radiation Physics and Chemi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40~45
분석자
이*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