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헤미셀룰로오스 유도체의 새로운 용도: 접착제

전문가 제언

셀룰로오스 및 헤미셀룰로오스와 같이 자연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비식품 다당류들은 양적으로 매우 풍부하고 재생가능하며 지구 온난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뿐 아니라 생분해성을 갖는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최근 화석자원을 대체할 자원으로 주목되고 있고 환경 친화적인 다양한 용도의 천연 고분자 소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발명은 핫 멜트 또는 감압 접착제(PSAs) 또는 접착 촉진성분으로써 셀룰로오스 다음으로 풍부한 헤미셀룰로오스인 자일란, 글루코만난과 갈랄토글루코만난 등을 활용한 새로운 환경 친화적 접착제에 관한 것으로 금후 환경 친화적 접착제의 연구개발에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종래의 핫 멜트 접착제는 포장, 합판, 목공 등의 분야에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 금속, 플라스틱, 자동차 등으로 용도가 확장되고 감압접착제는 유연한 재료간의 표면 접착이 매우 용이하여 포장, 전기, 사무, 방오, 라벨, 제품조립, 의료위생 등에 응용되고 있으며 열용융형 감압접착제는 환경 친화적이어서 최근 널리 대중화 되었고 접착제가 사용되는 모든 영역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핫 멜트 접착제는 열가소성 고분자로 구성되어야 하므로 이 발명에서는 헤미셀룰로오스를 히드록시프로필화하여 열가소성을 부여하고 있다. 예로 히드록시프로필화 자일란은 열가소성 고분자이고 상응하는 갈락토글루코만난 역시 히드록시프로필화될 수 있으며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특성을 갖도록 그 치환도(DS)를 0.1-3 특히 0.15-2.0, 예로 0.15-1.5로 하고 있다.

핫 멜트 및 감압접착제는 특유의 이점으로 수요와 성장률이 가장 높은 접착제 중의 하나이며 국내 접착제 기술은 해외 의존도가 아직도 높고 용제형에서 수용성, 무용제형, 핫멜트 형으로 바뀌어 가기 시작하고 있다. 최근 환경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환경규제가 강화됨을 고려할 때 자연에서 산출한 자원을 활용한 친환경 접착제들의 연구개발은 더욱 확충되어야 한다.

저자
Teknologian Tutkimuskeskus VTT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WO20140080086
잡지명
Novel Uses of Hemicellulose Derivative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3
분석자
김*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